‘감염병 전담병원’ 지방의료원 적자 “정부 지원 시급”

보건의료노조 결의대회 … 엔데믹 이후 환자수 급감, 임금체불·구조조정 우려

2024-07-10     어고은 기자
▲ 보건의료노조

감염병 전담병원 역할을 한 지방의료원을 비롯한 공공병원들이 엔데믹 이후 경영 적자가 심화되면서 임금체불과 구조조정 등으로 노동자들에게 피해가 전가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보건의료노조(위원장 최희선)는 공공병원 기능 회복을 위한 정부의 지원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보건의료노조는 10일 오전 국회 앞에서 조합원 500여명이 모인 가운데 결의대회를 열고 “감염병 전담병원 해제 만 2년이 되지만, 공공병원은 회복되지 못한 채 무너지고 있다”며 “지역에서 필수의료를 담당해 온 공공병원의 기능 회복과 역량 강화 없이 의료개혁은 성공할 수 없다”고 밝혔다.

공공의료 현장 노동자들은 임금체불 위기가 코앞에 다가왔는데 정부는 뒷짐을 지고 지자체는 땜질식 대책만 내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민경 노조 천안의료원지부장은 “코로나19를 거치면서 떠나간 환자들이 다시 돌아오지 않는 게 노동자들만의 잘못이냐”며 “코로나 전담병원 노동자들의 임금체불과 구조조정에 대한 두려움은 보이지 않는 것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100억원대 적자로 경영난에 따른 임금체불 문제와 관련해 “충청남도는 지자체 직접 지원 방식이 아닌 차입을 통해 7월 임금체불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고 지적했다.

최희선 위원장은 “공공병원의 구조적인 적자 문제, 부족한 의료인력, 열악한 시설·장비, 공익 기능 수행에 따른 지원 부재 등 공공병원이 처한 현실은 (엔데믹 이후에도) 달라진 게 없다”고 비판했다. 최 위원장은 “공공병원으로 죽어가는데 필수·지역 의료가 살 수 없다”며 “공공병원의 기능 회복과 역량 강화야말로 올바른 의료개혁”이라고 강조했다.

보건의료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