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중앙정부보다 확고한 기후위기 대응”
‘경기 RE100’ 등 기후위기 대응 정책 성과
경기도가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30% 달성을 목표로 하는 ‘경기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등 기후위기 대응 정책에서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경기도는 지난해 4월 ‘경기 RE100’ 비전을 선언했다. 이는 정부가 2030년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목표를 당초 30.2%에서 21.6%로 대폭 하향한 것과 대비된다.
경기도는 올해 2월 의정부시 경기도북부청사 유휴부지에 의정부와 동두천시민 등 500여명이 출자한 ‘공공기관 RE100 1호’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했다. 공공용지 44곳에 13메가와트(MW) 규모 주민참여형 태양광발전소를 설치할 예정이다. 도 산하 28개 공공기관의 RE100 이행실적을 공공기관(장) 경영평가 지표에 반영했다.
기업 RE100 분야에서 산업단지 내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대규모 민간투자를 유치하고 국내 최대 규모의 RE100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한편 관련 제도를 개선했다. 이를 통해 올해 3월 기준 계약이 이뤄지거나 예정된 민간투자 규모는 1천100억원(73MW)이다.
경기도는 도지사·민간위원 등 총 40명으로 구성된 ‘경기도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를 지난해 4월부터 운영하고 있다. 광역자치단체 최초로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제 운영 조례’를 제정해 2024회계연도 재정사업에 대한 온실가스감축 인지 예산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경기도는 중소기업 기후역량 강화 방안으로 ‘경기 RE100 플랫폼’을 운영할 계획이다. 기업들의 각종 활동 데이터와 에너지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해당 기업의 탄소 배출량과 에너지 효율을 진단, 개선 방안을 컨설팅하는 플랫폼이다. 지난달 31일 국토지리정보원·카카오모빌리티 등 15개 공공·민간 기관과 업무협약을 맺어 내년 6월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기도는 “중앙정부보다 확고하고 일관된 정책으로 국내 기후위기 대응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며 “민선 8기 전반기에 다져 놓은 기후위기 대응 정책을 기반으로 도민들의 기후행동 동참을 확대하고 경기도 기후정책에 효능감을 느낄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