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 정상화’ 촉구 공대위 출범
단체 사유화 중단, 노조활동 보장 촉구 … 카라측 “사실 아냐, 진실 왜곡”
동물권행동 카라를 걱정하는 시민모임과 공동대책위원회가 출범했다. 카라는 지난해 말 노조 설립 이후 노사 간 갈등이 끊이지 않고 있다.
공대위와 민주일반노조 카라지회는 13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카라측에 △대표의 단체 사유화 중단 및 민주적 운영 △구조된 동물 입양시스템 체계화 및 복지 개선 △노조활동 보장 △단기계약직 정규직 전환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전진경 카라 대표가 단체를 사유화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회원 1만8천여명의 후원으로 단체가 운영되는데 대표 1명에게 권한이 지나치게 집중돼 부실한 조직체계와 노동환경 악화로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공대위는 “대표 취임 이후 이사회를 친대표 성향 인물로 구성해 견제 기능을 없애고 활동가 의사결정기구인 집행위원회나 전체활동가 회의를 무력화했다”며 “대의원 총회를 무시하고 밀실회의에서 날치기로 셀프 연임을 결의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성과와 수치에 집착하는 대규모 동물 구조는 단체의 몸집만 키울 뿐 동물들의 안정적인 돌봄이나 입양으로 연결되지 못한다”며 “3년간 카라 더봄센터에서 지내는 동물은 440마리로 200%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지회는 지난해 11월 설립 이후 사측과 12차례 교섭했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해 지난달 25일 결렬 선언을 했다. 지난 10일 조합원 대상 쟁의행위 찬반투표 결과 투표율 100%, 찬성률 100%로 가결된 상태다. 16일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1차 조정회의가 예정돼 있다.
카라측은 전날 SNS를 통해 단체 사유화 등 공대위 주장에 대해 반박했다. 카라측은 “사업활동 집행은 물론 조직개편이나 공간활용까지 각 단위 회의를 통해 민주적으로 의사결정 했다”며 “연임은 정관에 따라 진행됐고 주무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정관에 따른 의결이라고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한 “구조된 동물들의 복지와 입양에 최선을 다해 왔다”며 “근로자의 노동권은 물론 발전적인 노조 활동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한편 공대위에는 우희종 서울대 명예교수, 박종무 전 카라 이사, 정경섭 성공회대 동물아카데미 겸임교수, 최태규 곰보금자리프로젝트 대표, 이선민·김소리 민변 변호사, 정윤영 작가 등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