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후보들, 일본 방사성 오염수 방류 대책 내놔라”
‘오염수 방류저지 공동행동’ 공개질의 … “민관합동기구 설치해야”
민주노총·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한 노동·환경단체들이 대선후보들에게 일본 방사성 오염수 방류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60개 노동·환경단체가 참여하는 ‘일본 방사성 오염수 방류저지 공동행동’은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방사성 오염수 방류 문제는 20대 대통령이 가장 먼저 처리해야 할 외교·환경 과제가 될 것”이라며 “대선후보들이 오염수 방류 문제에 대한 견해와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4월 후쿠시마 1원전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정화해 바다에 방류하기로 결정했다.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당시 냉각장치 고장으로 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 1원전 1~4호기에서는 빗물·지하수·냉각수 유입으로 오염수 130만톤이 생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후쿠시마 1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오염수를 방류하기 위한 해저터널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이르면 내년 봄 해저터널을 통해 오염수를 방류할 계획이다.
최경숙 시민방사능감시센터 활동가는 “일본 정부가 오염수를 방류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며 “더 이상 일본 정부에 항의하거나 외교적 행동을 취하겠다는 식의 안일한 대처로는 오염수 방류를 막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김종식 전국연안어업인연합회 중앙회장은 “어민들은 바다가 깨끗하지 않으면 일을 계속할 수 없다”며 “일본이 오염수를 방류할 수 없게끔 대선후보들이 명확한 공약을 내놓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공동행동은 방사성 오염수 방류에 대응하기 위한 민관합동기구 설치를 비롯해 △오염수 방류를 저지하기 위한 구체적 대책 마련 △피해 구제대책 마련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