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대선 주자들 “기후에너지부 신설,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
탄소중립 공약 발표 “내연기관 자동차 생산 멈추고 탄소세 걷자”
더불어민주당 대선 주자 6명이 탄소중립 공약을 발표했다. 기후에너지부 신설과 내연기관 제로시대 선언,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 등을 약속했다.
더불어민주당 탄소중립 특별위원회가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개최한 경선후보 탄소중립 공약 발표회에서 6명의 후보는 3분 영상으로 탄소중립 공약을 발표했다.
기후위기 대응을 총괄하는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한다는 공약은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이낙연 전 대표가 동시에 내놓았다. 두 후보는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단계적으로 상향하자는 약속도 했다. 이 전 대표는 “2030년까지 2018년보다 최소 45% 감축했으면 한다”며 “이는 현재 목표치보다 2배 높다”고 강조했다.
내연기관 차량을 없애자는 공약은 이 지사와 김두관·박용진 의원, 이낙연 전 대표가 나란히 내놨다. 김 의원은 2035년부터 내연기관 차량 신규등록을 금지를, 박 의원은 2035년 내연기관차 판매금지를 공약했다. 이 전 대표는 사회적 합의를 전제로 빠르면 2035년에 내연기관차 판매를 중단하자는 뜻을 밝혔다.
탄소세를 걷어 정의로운 전환에 활용하는 정책은 이 지사와 박 의원이 약속했다. 박 의원은 “탄소세로 만들어진 재정으로 정의로운 전환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탄소세를 기본소득 재원으로 활용한다고 22일 밝힌 바 있다.
이외에도 김두관 의원은 “NDC 달성을 위해 각 지방정부에 주체적 권한을 부여하겠다”는 입장을, 정세균 전 국무총리는 “탄소중립 핵심인 수소경제를 국가경제 발전축으로 만들고 국제수소거래소를 설립하겠다”고 제시했다.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은 연구개발 투자에 무게를 실었다. 추 전 장관은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로 생산효율성을 높이고, 탈탄소를 위한 기업의 연구개발을 이끌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