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물류 공룡’ 쿠팡 지난해 인정된 산재만 758건

국회 산재청문회 노동부 자료 보니 5년 새 3.3배 급증 … “작업속도·야간노동 문제 적극 개입해야”

2021-02-19     연윤정 기자
▲ 정기훈 기자

지난해 쿠팡에서 발생한 산업재해가 758건인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5년 사이 3.3배가 증가했다. 자회사인 쿠팡풀필먼트서비스에서도 산재가 5년 새 4.7배 증가해 239건이나 일어났다. 산재가 승인된 건수로 신청건수는 이보다 많다.

쿠팡을 비롯한 5대 택배물류업체 전체 산재 역시 매년 크게 증가하는 모양새다.

고용노동부가 18일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2016~2020년 5개 택배물류업체 산재현황’ 자료에 따르면 쿠팡에서는 2016년 산재승인 건수가 223건에서 2020년 758건으로 3.3배 증가했다. 산재신청 건수는 이보다 많다. 같은 기간 산재신청 건수는 255건에서 2020년 782건으로 3.1배 늘었다. 운송·물류창고 서비스를 하는 자회사 쿠팡풀필먼트서비스에서는 2017년 산재 신청건수가 50건에서 2020년 239건으로 4.8배, 승인건수는 같은 기간 48건에서 224건으로 4.7배 늘어났다.

국내 고용규모 3위 쿠팡 산재 증가도 압도적 속도

산재 유형은 질병보다 사고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지난해 쿠팡에서 사고 754건(96.4%), 질병 28건(3.6%)의 산재가 신청됐다. 질병 종류는 근골격계질환 26건, 뇌심질환 1건, 암 1건이었다. 이 중 승인된 것은 사고 743건(98.0%), 질병 15건이다. 질병은 모두 근골격계질환만 인정됐다.

쿠팡풀필먼트서비스에서는 지난해 사고 204건(89.5%), 질병 25건(10.5%)으로 산재가 신청돼 이 중 사고 204건(91.1%), 질병 20건(8.9%)이 승인됐다. 승인된 질병 20건 중 7건은 근골격계질환, 13건은 기타로 분류됐다. 뇌심질환(2건)과 정신질환(1건)은 산재로 승인받지 못했다.

쿠팡풀필먼트서비스의 자세한 사고재해 원인은 노동부가 박대수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산업재해 기업 청문회 관련 기업별 사고재해자 현황’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9월 기준 사고 131건 중 넘어짐(33건) 사고가 가장 많았고, 부딪힘(30건), 끼임(29건), 불균형·무리한 동작(15건), 맞음(9건), 떨어짐(7건) 순으로 나타났다.

쿠팡 이외 4개 택배물류업체 산재 발생 역시 2016년 산재신청이 7건에서 2020년 34건으로 4.9배 증가했고 산재승인 역시 같은 기간 7건에서 31건으로 4.4배 증가했다. 지난해 CJ대한통운에서 26건이 신청돼 24건이 승인됐다. 롯데택배는 4건이 신청돼 모두 승인됐고, 로젠택배는 4건이 신청돼 3건이 승인됐다. 과로사 문제로 사회적 물의를 빚었던 것에 비하면 매우 적다. 노동자들과 고용계약을 맺지 않고 업무위탁 계약을 맺는 택배업계 관행 때문으로 보인다.

이들 업체는 이 와중에도 산재은폐(미보고)로 과태료를 부과받았다. 노동부가 박대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2019년 기준 산재은폐로 CJ대한통운이 560만원(1건), 롯데글로벌로지스 504만원(1건), 쿠팡풀필먼트서비스 240만원(1건)의 과태료를 물었다.

택배물류업체 산재은폐 과태료, 적발 단 3건?

쿠팡에서 근무하다 목숨을 잃은 노동자는 계속 보고되고 있다. 지난 11일 쿠팡 동탄물류센터에서 야간조로 일했던 A씨가 퇴근 전 들른 화장실에서 사망했다. 지난해 5월 인천물류센터에서 일하던 계약직 노동자도 새벽 화장실에서 사망한 채 발견됐고, 같은해 10월 경북 칠곡물류센터에서 밤샘근무 후 귀가한 20대 노동자가 자택에서 숨졌다.

권영국 쿠팡발 코로나19 피해자지원대책위원회 공동대표는 “쿠팡은 물류혁신이라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노동력을 쥐어짜는 방식으로 폭증하는 주문을 소화하고 있는 현실”이라며 “야간노동에다 시간당 생산량(UPH)을 계속적으로 높이는 과정에서 산재사고도 높아진다”고 지적했다. 권 공동대표는 “이번 청문회에서 쿠팡의 작업속도와 야간노동, 쪼개기 계약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22일 산재 청문회를 연다. 환노위는 쿠팡·CJ대한통운·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 등 모두 9개 기업 대표자를 청문회 증인으로 채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