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 구조실패 철저히 수사해 처벌해야”

416연대·416가족협의회 한목소리 요구 … “앞으로 밝혀야 할 진실 청문회서 확인”

2015-12-17     연윤정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위원장 이석태)가 주최한 청문회가 14일부터 16일까지 사흘간 진행된 가운데 4·16연대와 4·16가족협의회가 “해경 구조실패에 대한 수사와 처벌이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두 단체는 16일 논평을 내고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감사원 감사·검찰 수사가 이미 진행됐고 재판도 거의 끝나가고 있다”며 “하지만 진실은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으며 아직도 밝혀야 할 진실이 많다는 것이 이번 청문회에서 확인됐다”고 밝혔다.

앞으로 밝혀야 할 진실은 김경일 123정장이 왜 세월호와 교신하지 않았는지가 첫머리에 꼽혔다. 이들은 “김 정장은 긴박한 상황이어서 교신하지 못했다고 했지만 그의 휴대폰 통화내역에 세월호 선원들의 집으로 발신한 것이 있다”며 “자신들이 유일하게 구한 사람들이 선원인 줄 몰랐다는 김 정장의 진술이 의심되는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김 정장을 제외한 책임자들이 처벌되지 않은 점도 지목했다. 두 단체는 “세월호 참사 당일 정부는 수백명의 잠수사를 투입하고 10여대의 헬기를 동원했다고 밝혔으나 사실이 아님이 확인됐다”며 “누가 그런 자료를 만들었는지, 누가 보고했는지 확인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를 심문하는 과정에서 증인들은 자신의 잘못이 없다면서도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기 위한 질문에는 모두 "기억이 안 난다"거나 "모른다"로 일관한 것으로 전해졌다.

두 단체는 “배가 침몰할 지경에 이르는 긴박한 상황에서 해경 지휘부는 ‘누군가 할 줄 알았다’ ‘내가 할 일이 아니었다’ ‘내 역할은 상황을 총괄하는 것이다’라고 말하면서 책임 떠넘기기에 바빴다”며 “상급자들에 대한 제대로 된 조사와 처벌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