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15~54세 기혼여성 6명 중 1명은 경력단절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경력단절 여성 현황(2020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부가항목)’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15~54세 기혼여성은 857만8천명이고, 이 중 비취업여성은 342만명이다.

비취업여성 중 결혼, 임신·출산, 육아, 자녀교육 같은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경력단절 여성은 150만6천명으로, 기혼여성의 17.6%를 차지했다. 경력단절 여성은 전년대비 19만3천명(-11.4%) 감소했다. 비중으로는 1.6%포인트 하락했다.<그래프 참조>

경력단절 여성은 30대(46.1%)가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이어 40대(38.5%), 50~54세(8.9%), 15~29세(6.4%) 순으로 나타났다. 30~40대가 84.6%로 절대다수다.

경력단절 사유를 보면, 육아(42.5%)가 가장 높았다. 결혼(27.5%), 임신·출산(21.3%), 가족돌봄(4.6%), 자녀교육(4.1%)이 뒤를 이었다. 전년대비 감소율을 보면 결혼(-20.7%), 임신·출산(-16.4%), 육아(-1.4%), 자녀교육(-10.0%), 가족돌봄(-7.9%) 순이었다. 육아로 인한 경력단절은 거의 줄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경력단절 기간은 10~20년 미만(27.0%)이 가장 많았다. 5~10년 미만(24.1%), 3~5년 미만(13.7%), 1년 미만(12.7%), 1~3년 미만(11.9%), 20년 이상(10.7%)이 뒤따랐다.

18세 미만 자녀수별 경력단절 여성을 보면, 자녀수 2명이 48.7%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1명41.0%), 3명 이상(10.3%) 순이었다. 18세 미만 자녀연령별 경력단절 여성 규모는 6세 이하(61.6%)가 가장 많았고, 7~12세(27.0%)·13~17세(11.4%)가 뒤를 이었다.

17개 시도별 경력단절 여성은 전년대비 제주(6.7%)와 전북(4.6%)에서 증가했고, 경기(-14.1%), 서울(-22.7%)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