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전공과 직무가 일치하지 않는 청년층 비율은 절반에 가까운 45.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과 한국노동연구원이 25~26일 이틀간 서울 롯데호텔에서 공동개최 하는 패널국제학술대회에서 주무현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이 같은 청년패널 분석결과를 발표한다.

청년패널조사는 한국고용정보원이 2001~2006년 조사한 패널자료로서 2001년 조사시 매년 만15~29세 청년층 5천여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과정’을 추적 조사한 것으로 청년층 실업해소를 위한 고용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르면 2005년 현재 청년 취업자의 45.4%(여성 43.3%, 남성 47.5%)가 자신의 전공과 일치하지 않는 직무에서 종사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불일치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졸 및 고졸 이하자의 전공·직무 불일치 수준은 59.2%인 반면 전문대졸자는 43.5%, 4년제 대졸자는 31.8%였다.

전공·직무 불일치에 따른 임금효과는 부정적이었다. 전공·직무 불일치의 전문대졸자는 일치 취업자보다 평균 임금의 4.8%, 4년제 대졸자는 15% 가량 손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의 직무보다 자신의 숙련수준이 높은 과잉숙련 수준은 청년층의 24.2%(여성 21.8%, 남성 26.7%)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잉숙련은 적정숙련 취업자보다 전문대졸 14.5%, 4년제 대졸 23.1%의 임금 손해를 보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김희삼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의 세대간 소득이전과 노후소득보장’를 통해 은퇴연령을 넘긴 노부모가 자식들로부터 받은 순이전 액수는 연간 200만원 정도라고 밝혔다. 4년제 대졸 이상 학력을 가진 자식은 그렇지 않은 자식보다 연 43만원을 더 내는 것에 그쳤다.

60세 이상 연령층의 주 소득원 가운데 자식으로부터 사적 소득이전이 차지하는 비율은 80년 72.4%에서 95년 56.3%, 2003년 31.1%로 감소되는 등 가족에 의한 노령인구의 사적부양 관행이 쇠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매일노동뉴스> 2007년 10월 25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