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가구 출산여성의 38.7%가 미취업자이고 26.6%가 출산 전후 퇴직하며 원직복귀율은 12%에 그치는 등 여성의 경력단절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저소득 여성의 고용불안과 빈곤해소를 위해 취약보육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여성노동자회(대표 최상림)가 4일 오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강당에서 개최한 ‘일·가정 양립을 위한 취약보육 대안 마련 토론회’에서 지난 4~8월 서울, 인천, 대구, 부산, 광주, 전주 등 6개 지역 저소득 1천20개 가구를 대상으로 보육실태조사를 실시,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출산 전후 퇴직을 하는 이유는 ‘일을 하고 싶으나 자녀를 안심하고 맡길 곳이 없다’가 40.8%로 가장 많았다. 또 출산휴가 이후 육아휴직을 쓰지 않은 이유에 대해 ‘해당되지 않는다’가 24.6%, ‘회사분위기 때문’이 23.1%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취업자의 이유는 ‘자녀를 맡길 곳이 없다’가 30.1%, ‘자녀양육과 가사에 전념하기 위해’가 29.8%, ‘적당한 일자리가 없다’가 21.9%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서울에서는 ‘적당한 일자리가 없다’는 응답이 40.0%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저소득 가구의 보육비 지출의 경제적 부담 역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월 가구소득 중 15%(15만8천700원)을 보육비로 사용한다고 응답, 2004년 전국 평균 8%에 비교할 때 부담이 더 커졌다는 주장이다. 또한 보육기관 이용자의 64.7%가 이용료에 부담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이같이 출산여성의 경력단절 심화와 함께 자녀양육에서의 애로에 대해 이날 발제자인 서문희 육아정책개발센터 기획조정실장은 “우선 추진과제로 파견보육의 확대 및 제도화(31.4%), 보육시설 미이용 아동에 대한 양육비 지원정책(25.4%), 시간제 보육 확대(22.2%)를 크게 꼽았다”며 “부모들의 취업이 증가하고 가족형태와 취업양상의 변화에 따라 보육서비스 수요도 다양해지고 있는 만큼 휴일보육과 시간연장보육 등 수요자 중심의 보육정책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매일노동뉴스> 2007년 9월 5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