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 12월초까지 대규모 릴레이 집회

노동계가 26일 '제2차 공공부문 노동자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개최한 것을 시작으로 12월 초까지 10여차례의 대규모 집회를 갖는다.

12월 초 총파업에 대비, 릴레이식 집회와 시한부 파업으로 투쟁분위기를 한껏 띄우겠다는 것이다.

다음달 8일 전국 총파업을 선언한 한국노총은 ▶28일 전국대의원대회와 30일 공공부문노조 연대집회▶12월 5일 경고파업 등으로 투쟁 열기를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이번주를 '집중투쟁기간'으로 설정한 민주노총은 ▶29일 건설연맹 총파업 ▶30일 공공부문 노조와 금속연맹의 공동집회에 이은 부분파업 ▶12월 1일 전국대학노조 집회와 부분 파업 ▶2일 전국사무금융노동자대회 등 대정부 투쟁수위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이들의 요구사항은 ▶공기업 민영화 저지와 구조조정 반대 ▶노조전임자 임금지급 등 제도개선 ▶근로조건 후퇴없는 주 5일근무제 도입 등 세가지로 압축된다.

양 노총은 이같은 공동목표를 관철하기 위해 개별 또는 공동 집회와 파업계획을 세워놓거나 추진하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타협의 여지없는 강경투쟁 일변도다.

노동전문가들은 이같은 강경분위기가 한국노총 총파업 예정일인 다음달 8일 전후까지는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장 근로자들의 투쟁 열기가 워낙 뜨거워 지도부의 선택 폭이 넓지 않은데다 정부도 노동계에 반대급부로 내놓을 것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더구나 한국노총의 경우 정부와의 타협과 조정을 중시해온 이남순 위원장의 지도행태에 대한 일선의 비판이 만만찮다.

민주노총은 단병호 위원장 체제에서 별로 소득이 없다는 내부 지적도 있다. 당분간 강경분위기가 지속될 것으로 보는 이유다.

그러나 이같은 강경기조가 장기화하진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경제위기 상황 속에서 투쟁 일변도로 나가기에는 여론의 부담이 만만찮고, 따라서 노조로서도 실리를 챙기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주 5일근무제 도입과 관련, 휴일. 휴가를 일부 축소해야 한다는 재계의 주장이 워낙 강경하고 설득력 있다.

재계는 "유급월차와 생리휴가를 주는 나라는 외국 어디에도 없다"며 이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한국노동연구원 최영기 부위원장은 "12월 8일을 전후해 노.정 양측이 어느 정도 실리를 주고 받는 선에서 대화 분위기가 형성될 것" 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