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병호 민주노총 위원장이 12일 전국노동자대회 대회사를 통해 공동투쟁본부의 구성을 공개적으로 제안하면서 거듭 양대노총의 공동투쟁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한국노총이 하루 전날 노사정위 논의중단을 선언하면서 공동투쟁을 벌여나갈 수 있는 객관적인 조건이 이전보다 좋아진 상황이어서 이목이 쏠리고 있는 것.

그러나 지난 달 11월 노동자대회의 공동개최방안을 모색해오다 결국 불발로 끝난 것에서 보여지듯, 노동계의 공동투쟁문제는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이 노동현안을 풀어나가기 위한 대처방식을 달리하고 있어 쉽지만은 않은 상황으로 읽혀진다.
우선 한국노총은 원칙적으로 제도개선을 앞두고 대정부 교섭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동투쟁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지만, 공동투쟁본부라는 기구를 당장 구성하는데는 부담스러워하는 분위기다. 양쪽이 투쟁계획을 같이 잡아나가고 있는 상황이 아닌데다, 한국노총의 경우 노사정위라는 교섭틀을 완전히 차단한 것은 아니기 때문. 하지만 한국노총으로서도 내부 투쟁동력을 감안한다면 민주노총과의 연대문제를 고려하진 않을 수 없어 어떻게 적절한 방식을 찾아낼 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이에 비해 대정부 교섭틀을 갖고 있지 못한 민주노총으로서는 한국노총이 노사정위 논의중단을 계기로 공동투쟁의 목소리를 이전보다 훨씬 높이고 있다. 단 위원장은 "단순히 교섭의 조건을 유리하게 만들어 보겠다는 전술이 아니라 하반기 투쟁의 기본방침이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하반기 법개정투쟁에서 한국노총이 당분간 장외투쟁에 집중하다 이를 지렛대로 삼아 다시 노사정위라는 틀로 들어갈 경우 민주노총이 공동투쟁으로 얻게될 실익은 그만큼 작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 공동투쟁본부기구라는 틀을 강하게 제안하고 있는 것도 이러한 맥락과 닿아있다.

한편 이러한 가운데서도 '공공부문노조 연대투쟁대표자회의'를 중심으로 한 양대노총의 공공부문 노조들의 공동투쟁은 26일 집회, 30일 공동행동의 날 등이 일정으로 잡혀있다. 공공부문 구조조정이라는 상황에 맞서 이들의 공조는 보다 용이하게 진행되고 있는 편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