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미디어 등장으로 방송통신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가운데, 뉴미디어 정책에 수용자의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는 소통구조가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9일 오후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회관에서 ‘뉴미디어 난개발과 배제된 수용자권리를 찾아서’라는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 전규찬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교수는 “일반 시민들이 DMB가 무엇인지도 모르는 사이, DMB 사업자가 선정되는 등 뉴미디어 정책에 있어 미디어의 수용자이자 주권자인 시민들의 ‘알 권리 및 참여의 권리’는 배제돼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전 교수는 또 “국가와 언론, 자본 등의 주도로 추진되고 있는 뉴미디어의 도입과정에서 기술표준 선정, 통신 및 전자 업체의 요구, 시장확대 예측, 시장 차별화, 수익창출 구조, 고용창출 등에 대한 논의만 무성할 뿐, 미디어로서의 '공공성'을 논하는 목소리는 듣기 어렵다”며 “사실보도를 통한 사회 전영역의 감시, 여론형성의 역할과 사회 공익을 위해 문화적 다양성 추구, 정보와 건강한 오락 제공 등 뉴미디어의 미디어로서의 역할에 대한 고민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뉴미디어가 미디어로서의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명준 영상미디어센터 미디엑트 소장은 “뉴미디어가 새로운 시대의 미디어로서 공공적 성격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미디어수용자들의 참여와 발언을 최대한 보장하고, 소수자 및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충실히 대변하는 노력이 중요하다”며 “‘참여와 인권’ 이라는 측면의 공공성 확보를 위해서라도, 뉴미디어-수용자 간 의사소통구조가 우선적으로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