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20일 예정됐던 파업을 유보했던 화물연대가 21일 전격적으로 파업에 돌입한 것은 BCT 교섭 지연에 대한 불만과 현장 조합원들의 강한 파업요구가 주원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사실 화물연대는 지난 6월부터 파업찬반투표 결정과 시행, 투표가결 이후 20여일간의 교섭 진행 등으로 여러차례 집단행동을 유보해 왔다. 이는 재파업으로 인한 국가경제적 타격은 물론 정부의 강경방침과 파업에 대한 보수언론의 공격 등 화물연대 지도부로서는 부담으로 작용한 요소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파업찬반투표 가결 이후에 진행된 집중교섭에서 컨테이너 부문 등이 상당부분 의견접근을 이뤘음에도 BCT의 경우 교섭 형태를 놓고 난항을 겪는 등 운임 인상에 대한 제대로 된 논의조차 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애초 파업 돌입의 기준으로 잡은 지난 19일 교섭에 대해 결렬선언을 하지 않고 재차 교섭을 가졌으나 이마저도 전혀 진전을 보지 못한 것.

결국 현장 조합원들의 즉각적인 파업돌입요구도 지도부로선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20일 저녁 BCT 교섭이후 집행위에 참가한 한 지부장은 "계속되는 조합원들의 파업요구를 더 이상 설득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화물연대 관계자는 "20일 저녁 교섭 결렬 이후 업체측에서 25일까지 기다려 달라는 팩스를 보냈지만 더 이상 기다릴 수는 없었다"며 "이날 저녁 업체의 팩스 연락이 되려 파업을 촉발시켰다"고 주장했다.

일단 파업을 시작한 이상 BCT와 컨테이너 등 일괄타결 전까지는 파업이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화물연대 관계자는 "BCT업체 측에서 우리가 수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안을 내오기 전까지는 파업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노총 한 관계자도 "화물연대의 규모나 짧은 투쟁경험을 봤을 때 치고 빠지는 전술이 힘든데다가 여러 부담에도 불구하고 그 선을 넘어선 이상 완전타결 전까지는 파업중단이 어렵지 않겠냐"고 전망했다.

한편 정부의 중재로 21일 중으로 BCT업체들이 일정정도의 운임인상안을 마련해 화물연대에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마저도 화물연대 요구안과 두배 이상 차이가 나 의견접근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김학태 기자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