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는 기후위기가 촉발한 ‘일자리 증발’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2만5천명의 국내 석탄화력발전소 정규직·비정규직 앞에 놓인 질문이다. 정부는 가능성을 믿고 있는 모습이다. 석탄화력발전소 노동자를 액화천연가스(LNG) 복합발전소로 전환배치하고, 재생에너지 건설과 부품제조 같은 전후방 고용과 송·배전 등 전기 운반 과정의 시설물 운용·관리 사업장으로 수용하는 방안이 유력해 보인다.

일단 각종 연구와 통계를 보면 재생에너지가 어느 정도 새로운 고용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은 있다. 2015년 글로벌 분석을 통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고용효과를 살펴보면 석탄화력발전소 운영과 유지·보수 같은 일의 고용효과는 0.14명인데 반해 태양광은 0.7명, 해상풍력은 0.3명, 육상풍력은 0.2명이다. 바이오매스는 1.5명이다. 다만 이 수치는 2011년과 2012년께 OECD 회원국 수치를 종합한 내용이다. 각국의 사정이나 기술을 고려하지 않고 망라한 수준이라 통계로서 의미는 크지 않다.

낙관적인 전망은 또 있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가 매년 펴내는 재생에너지와 일자리 연례보고서다. 지난해 10월 발간한 이 보고서를 보면 2020년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일하는 노동자는 1천200만명으로 2019년보다 50만명 증가했다.

다만 속도가 빠르다고 보긴 어렵다. 통계를 기준으로 5년 전인 2016년 재생에너지 일자리는 1천10만개로 집계됐다. 2017년 1천50만개, 2018년 1천110만개, 2019년 1천150만개다. 5년간 전 세계적으로 190만개 일자리가 증가한 셈이다.

지역적으로는 균등하지 않다. 2020년 기준으로 39%가 모두 중국에 속한 일자리다. 게다가 국내에서는 아직 재생에너지 발전소의 고용효과가 뚜렷이 드러나지 않았다. 단적으로 지난해 마지막 날 자정께 발전을 중단한 호남화력발전소와 가동 중인 탐라해상풍력발전을 비교하면 재생에너지쪽 고용은 약 절반 수준으로 전망된다. 호남화력발전소가 500메가와트(MW)를 생산하면서 고용한 인원은 320명인 데 반해 현재 30메가와트를 생산하면서 10명을 고용한 탐라해상풍력발전소의 발전량을 500메가와트 기준으로 전망하면 고용인원 예상치는 167명이다.

이정희 한국노동연구원 노사관계연구본부장은 “여러 조건을 감안하지 않은 비교라 정확하다고 강조하긴 어렵다”고 전제하고 “적어도 현재의 낙관적인 고용예측이 현장에서는 드러나지 않고 있다는 인식을 상기할 수 있는 비교”라고 설명했다. 재생에너지와 일자리 전망을 비롯해 노동전환에 대한 실증적인 조사나 연구가 필요한 셈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