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산업재해 사고로 숨진 노동자는 882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질병사망자는 1천180명으로 나타나 산재로 숨진 노동자는 모두 2천62명이다. 2019년보다 소폭 증가했다.

고용노동부는 14일 이 같은 내용의 2020년 산재 사고사망 통계를 발표했다. 지난해 산재사고 사망자는 2019년 855명보다 27명(3.2%) 늘었다.

산재사고를 업종별로 살펴봤더니 건설업이 458명(51.9%)으로 절반을 넘었다. 전년보다 사망자가 30명 증가했다. 노동자 38명의 목숨을 앗아 간 지난해 4월 이천 물류창고 화재참사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제조업은 201명(22.8%)으로 나타났다. 떨어짐(328명), 끼임(98명), 부딪힘(72명), 물체에 맞음(71명), 깔림·뒤집힘(64명) 같은 사고유형에서 피해가 컸다.

규모별로는 50명 미만 사업장에서 714명(81%)의 사망자가 나왔다. 해당 규모 사업장은 내년 시행하는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중대재해처벌법) 적용을 3년간 받지 않는다. 중대재해처벌법으로도 산재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없을 것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까닭이다.

고령자와 이주노동자가 위험에 많이 노출돼 있다는 사실도 재확인됐다. 산재사고로 숨진 노동자 중 60세 이상은 347명(39.3%), 이주노동자는 94명(10.7%)이었다. 지난해 노동자 1만명당 산재 사고사망자는 0.46명이다. 2019년과 같은 수치다.

산재 질병사망자는 지난해 1천180명이다. 2019년(1천165명)보다 조금 늘었다. 사고·질병을 모두 합한 전체 산재사망 노동자는 2천62명이다. 2019년은 2천20명이었다.

노동부는 올해 산재 사고사망자를 20% 감축해 700명대 초반으로 줄인다는 목표를 세웠다. 김규석 산재예방보상정책국장은 “산재 사고사망 20% 감축은 올해 노동부의 가장 중요한 지상과제로, 떨어짐과 끼임 사고 등이 줄어들도록 전력을 다하겠다”며 “건설·제조 사업장은 밀착 관리하고, 안전관리가 불량하면 지도·감독하는 등 산재사고가 감소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