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와 정부간의 대타협이 이뤄지는 과정에서, 노사정위원회(위원장 김호진)가 간만에 매파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 김호진 노사정위원장은 7월7일 노정간 첫 협상이 열리기까지 공식, 비공식 접촉을 통해 대화성사에 주력해왔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김 위원장은 "7월4일 이남순 한국노총 위원장, 이헌재 재경부장관, 이용근 금감위원장 등이 만난 자리에서 성급하게 합의문건을 내밀기도 했을만큼 '대화를 통한 사태해결'에 힘썼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민주노총의 불참 등으로 제구실을 다하지 못했던 노사정위로서는 오랜만에 '위축감'을 떨쳐버릴 수 있는 계기가 아니었냐는 이야기도 나온다.

하지만 노동계 내에서는 금융노조의 파업선언은 노사정위원회내에서의 논의가 부실한데서 출발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진작부터 책임있는 정부측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노사정간 비중있는 논의가 다뤄졌다면 금융노조의 금융특위 탈퇴나 장외투쟁도 부르지 않았을 것이라는 얘기다. 노사정위가 뒤늦게 위기상황을 수습하기 위한 대화의 장을 주선하고 타결로 이끈 것은 '병주고 약주냐'는 힐난도 나오고 잇는 것이다.

이와관련 이정식 한국노총 대외협력본부장은 "어찌됐든 노사정위는 이번에 '중개역할'을 했지만, 이는 현재의 한계를 보여주기도 하는 것"이라며 "앞으로 있을 공공부문 구조조정 등에서는 중개가 아닌 적극적인 '중재자'의 모습을 갖춰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번 금융사태를 계기로 노사정위가 노동계의 현안에 대해 정부당국에 보다 목소리를 높일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