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김미영 기자
“3월은 기다림으로 시간이 지나갔고, 4월 한 달은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겠다는 생각이 들어 시험감독이나 보조출연 같은 단기 알바를 했어요. 지난 6일 한 학교가 방과후수업을 재개해서 일을 하고 있지만 수입이 불안정해 계약을 파기하고 다른 쪽으로 취직해야 하나 고민하고 있어요.”

부산에서 13년째 방과후 강사로 일하는 김슬아(47·가명)씨가 방과후수업으로 다음달 손에 쥘 수 있는 돈은 27만원에 불과하다. 그는 사회복지사로 전직할까 고민하고 있다. 김씨는 “이력서까지 써 놓은 상태”라면서도 “내 아들딸 같은 정든 학생들을 보지 못하는 게 무서워 이직을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로 문을 닫았던 학교가 지난달 전교생 등교를 개시했지만, 대부분 학교에서 방과후학교가 열리지 않으면서 방과후 강사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16일 방과후강사노조(위원장 김경희)와 공공운수노조 방과후학교강사지부(지부장 이진욱)에 따르면 제주도와 전라남북도, 광주시 등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은 방과후학교를 개시하지 않고 있다. 1년 단위로 학교와 계약을 맺는 특수고용직인 방과후 강사는 한 달에 50만원씩 세 달 동안 지급되는 긴급고용안정지원금과 단기 알바로 생계를 이어 나가고 있다.

경기도에서 15년 동안 방과후 강사로 일한 신민경(49·가명)씨는 지난 2월 이후로 수업을 전혀 하지 못하고 있다. 방역도우미로 일하고 있지만 한 주 14시간만 하는 초단시간 노동자다. 한 달 40만~50만원 수준의 급여를 손에 쥔다. 신씨는 “15년 동안 아이들을 가르치는 게 좋아 해 온 일”이라며 “2학기에도 방과후수업이 열릴지 미정이라고 하니 일단은 정부가 운영하는 코로나19 임시일자리에 신청을 한 상태”라고 말했다.

강사들은 여름방학과 2학기 개학이 코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정부가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라고 촉구한다. 이진욱 지부장은 “교육청은 방과후학교가 학교장 재량사항이라고 발뺌하고 책임을 회피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학원도, 돌봄교실도, 마을학교도 하는데 왜 방과후학교만 안 된다고 하는지 모르겠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김경희 위원장은 “코로나19 확진자가 있는 경우라면 안전을 위해서 어쩔 수 없다고 하지만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는 지역에서 방과후수업을 재개하지 않는 것은 학습권 침해”라고 지적했다.

이미연 전국교육연합네트워크 집행위원장은 “경제적 여유가 되거나 가정의 주양육자가 집에 거주하고 있는 경우는 몰라도 많은 아이들이 방과후에 할 게 없는 상황”이라며 “아이들의 인성·진로·직업교육적 측면에서도 방과후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1만1천여개 학교가 있는데 일괄적으로 수업을 재개하라고 안내할 수는 없다”며 “지역별로나 학교특성별로 학교장이 고려해야 할 여건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