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회찬재단 주최로 16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열린 노동조합의 사회연대활동 사례 토론회에서 조상수 철도노조 위원장이 공공상생연대기금 사례를 발표하고 있다. <정기훈 기자>
신규 인력충원을 위한 부산지하철노조의 통상임금 양보, 공공상생연대기금, 금융노조의 하후상박 임금연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노동계의 사회연대 활동이다. 이들 사업을 주도한 노조들이 각자 사례를 공개하고 노조의 사회연대사업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노회찬재단은 16일 오후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노동조합의 사회연대활동 사례’ 토론회를 개최했다.

사회연대사업을 경험한 노동계 관계자들은 “사회연대 전략은 노조의 생존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사회연대를 통해 ‘노동조합=철밥통’ 프레임을 바꾸지 않으면 노조는 고사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의용 전 부산지하철노조 위원장은 “노조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사회 프레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전 위원장은 “삶이 나아지기 위해 노조가 있는데, 현재처럼 임금만 올리면 삶은 나아지지 않고 시민들로부터 외면받아 투쟁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사회적 제도가 바뀌어야 하는데 노조가 사회연대전략으로 영향력을 확대하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노조 위원장 시절 부산 시민사회와 연대했던 사례를 소개했다. 이 전 위원장은 “공공기관 노조들은 사회적으로 철밥통이라는 프레임 때문에 투쟁하기가 쉽지 않았다”며 “이 프레임을 깨기 위해 부산시민을 위해 싸우는 노조 이미지를 만들려고 대시민 홍보를 강화했다”고 말했다.

부산지하철노조는 부산참여연대·사회복지연대를 포함한 17개 단체와 부산시의원 일부가 참여하는 부산공공성연대를 만들었다. 집회를 콘서트 형태로 진행하기도 했다. 이 전 위원장은 “이런 연대 활동, 홍보 활동이 우호적 여론을 조성했고 덕분에 내부 조합원도 설득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부산교통공사는 총임금 가운데 통상임금을 낮게 조정해 연장근로수당 등을 적게 지급했다. 대법원은 2013년 12월 부산교통공사의 상여금과 가계보조비를 통상임금에 포함하는 내용의 판결을 내렸다. 대법원 판결을 적용할 경우 조합원 1인당 평균 1천만원 정도의 임금상승 효과가 있었는데, 노조는 청년 540명 신규채용을 위한 비용으로 사용하기로 했다. 실제 이행됐고 노조는 지난해 전태일노동상을 수상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조상수 철도노조 위원장·이재진 금융사무노조 위원장·박홍배 금융노조 위원장·김은선 희망씨 상임이사가 공공상생연대기금과 우분투재단 설립, 임금·지역연대 사례를 발표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