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고용충격이 청년층을 강타하고 있다며 국가가 청년일자리 창출과 교육·훈련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는 28일 이슈브리프 ‘일문일답’에서 “3~4월 고용통계상 청년층 고용충격이 현실화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일자리위에 따르면 청년(15~29세) 취업자는 2018년 6월부터 23개월 연속 증가하다가 올해 3월부터 감소세로 돌아섰다. 올해 3월에는 367만1천명, 4월 365만3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각각 22만9천명, 24만5천명 줄었다. 청년 고용률은 3월 41.0%, 4월 40.9%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각각 1.2%포인트와 2.0%포인트 하락했다.

청년 비경제활동인구는 지난해 472만9천명으로 전년 대비 10만8천명 감소한 반면 올해 3월 488만9천명, 4월 491만5천명으로 1년 전보다 각각 17만2천명, 23만명이 증가했다.<그래프 참조> 특히 “쉬었음”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3월 11만3천명, 4월 12만2천명 늘었다.

일자리위는 “위기상황에서 신규채용이 억제돼 고교·대학 졸업자 등 청년들 상당수가 비경제활동인구로 유입된 결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일자리위는 코로나19로 인한 청년층 고용충격에 대해 최근 정부가 발표한 ‘공공·청년일자리 창출계획’을 철저히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지난 20일 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공공부문 디지털·비대면 일자리를 비롯해 55만개 일자리를 청년 등 취약계층에게 제공하는 내용의 ‘공공·청년일자리 창출계획’을 확정한 바 있다. 소요재원은 3조5천억원으로 추산되며, 정부는 3차 추가경정예산에 반영해 하반기 시행할 방침이다.

일자리위는 “공공·청년일자리 창출 사업에 참여하는 청년이 혁신산업 분야에서 직무 경험과 역량을 쌓아 코로나19 종식 이후 빠른 시간 내에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도록 철저한 준비와 점검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유럽연합의 청년보장제(Youth Guarantee) 같은 제도도 눈여겨봐야 한다고 제시했다. 청년보장제는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당시 실시한 정책으로 25세 미만 청년이 실직하거나 정규교육을 마친 시점부터 4개월간 양질의 고용과 지속적 교육·훈련을 제공했다. 지난해 4월 기준 1천400만명 넘는 유럽연합 청년들이 이를 통해 일자리와 교육·훈련을 제공받았다.

일자리위는 “코로나19로 촉발된 청년 고용위기에 대응한 기본 정책방향으로 ‘청년 고용에서 국가와 사회의 책임 강화’를 설정하고, 위기를 계기로 주체 간 파트너십을 통한 청년보장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