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2천20명이 지난해 일터에서 일하다 얻은 질병이나 사고로 목숨을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산재 사망자는 2018년(2천142명)보다 5.7%(122명) 감소했다. 사고 사망자는 855명으로 2018년보다 11.9%(116명) 감소했고 질병 사망자는 1천165명으로 0.5%(6명) 줄었다.

산재사망만인율은 1.08명으로 전년보다 0.05명 감소했다. 사고사망만인율은 0.05명 감소한 0.46명, 질병사망만인율은 0.01명 증가한 0.62명이다. 사망만인율은 노동자 1만명당 사망자를 보여주는 지표다.

50명 미만 사업장에서 산재 사망자의 절반 이상이 나왔다. 5명 미만 사업장에서 494명(24.5%), 5명 이상 50명 미만 사업장에서 751명(37.2%)이 일하다 숨졌다. 300명 이상 1천명 미만 사업장에서는 271명(13.4%), 1천명 이상 사업장에서는 84명(4.2%)이 숨졌다. 업종별로는 건설업에서 517명(25.6%)이 발생해 가장 많았다. 제조업(492명)과 광업(406명)이 뒤를 이었다.

산재 사망자는 줄었지만 전체 재해자와 재해율은 증가했다. 지난해 재해자는 10만9천242명으로 2018년보다 6.8%(6천937명) 증가했다. 사고 재해자는 9만4천47명으로 3.5%(3천215명), 질병 재해자는 1만5천195명으로 32.4%(3천722명) 높아졌다.

노동부 관계자는 “2018년부터 최초요양(산재)신청서에 있던 사업주 확인 날인란이 없어지고, 규모·금액에 관계없이 모든 건설현장이 산재보험 의무가입 대상으로 확대됐다”며 “근로복지공단이 업무상질병에 대한 입증책임을 완화하고 폭넓게 산재를 승인하는 쪽으로 심사 방향을 잡고 있는 점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돼 재해율과 질병 재해자수 증가로 나타난 듯하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