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나영 기자
직장인의 절반 정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소득이 줄었고, 저임금 노동자 소득감소 충격이 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직장갑질119와 공공상생연대기금은 27일 서울 종로구 공공연대기금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14일부터 19일까지 전국 만 19세에서 55세 직장인 1천명에게 ‘코로나19와 직장생활 변화’를 주제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절반가량인 47.5%가 코로나19 이후 ‘소득이 줄었다’고 답했다. ‘변화가 없다’는 응답이 51.6%, ‘소득이 늘었다’는 응답은 0.9%를 차지했다.

특히 소득이 줄었다는 응답률은 비정규직(66.3%)이 정규직(35%)보다 높았다. 서비스직(66.9%)이 사무직(35.4%)보다 소득감소 응답 비율이 높았다. 임금 수준별로는 월급 150만원 미만 응답자의 70%가 소득이 줄었다고 했다. 소득이 줄었다고 답한 월급 500만원 이상 응답자(24.1%)의 세 배 수준이다. 오진호 직장갑질119 총괄스태프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 위기가 누구에게 더 치명적인지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직장에서 부당한 일을 경험했다는 응답은 비정규직에서 두드러졌다. 부당한 지시 중 무급휴업 강요를 받은 비율은 비정규직이 19.5%로 정규직 8%보다 높았다. 권고사직·해고·계약해지도 비정규직(8.5%)이 정규직(3.5%)보다 높았고, 임금삭감·반납도 비정규직이 13.8%로 정규직 11.3%보다 많이 겪었다.

코로나19로 직장의 경영상태가 나빠질 것이라는 비관적인 응답은 57.1%였다. 코로나19로 고용관계 악화 우려도 컸는데 정리해고 17.8%, 임금삭감 16.9%, 비정규직화 12.3% 순으로 높았다.

코로나19 위기 극복 방안으로 응답자 10명 중 8명이 해고 금지, 무급휴직·프리랜서 소득보전금 지급, 모든 실업자 실업급여·모든 취업자 4대 보험 적용, 비정규직 고용안정, 고소득자 추가 세금 신설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코로나19 이후에는 사회안전망 강화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94.5%, 원청업체의 사용자 책임 강화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90.7%로 뒤를 이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