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이 원자력·석탄화력 수주 급감을 이유로 명예퇴직에 이어 휴업카드까지 꺼내 들면서 노조가 반발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신규채용 억제에 따른 노동강도 강화, 복지유예, 순환휴직, 조기퇴직·명예퇴직 등 자구노력을 감당했던 노동자들은 “오너와 경영진은 도대체 무슨 자구노력을 했냐”며 분통을 터트리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중공업(대표이사 정연인)은 지난 10일 금속노조 경남지부 두산중공업지회에 경영상 휴업 시행을 위한 노사협의 요청 공문을 보냈다. 회사는 정연인 대표이사 명의로 보낸 공문에서 “더 이상 소극적인 조치만으로는 한계에 도달했고, 보다 실효적인 비상경영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휴업 필요성을 강조했다.

두산중공업이 제시한 휴업 검토 이유는 수주물량 감소다.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돼 있던 원자력·석탄화력 프로젝트가 취소되면서 약 10조원 규모의 수주물량이 증발해 경영위기가 가속화했다는 것이다. 최근 5년간 당기순손실은 1조원을 넘어 영업활동만으로는 금융비용조차 감당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정 대표이사는 “회사는 그동안 위기극복을 위해 신규채용 억제, 임원·조직 축소, 한시적 복지유예, 계열사 전출, 순환 휴직, 사내 공모를 통한 인력 전환배치, 조기퇴직·명예퇴직을 실시하는 등 고정비 절감·운영효율화에 주력했지만 보다 강도 높은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두산중공업지회는 이날 입장을 내고 “회사의 경영위기는 전적으로 오너와 경영진 책임이지 직원 책임이 아니다”며 “비상경영조치를 하려면 오너와 경영진 사죄가 우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임유식 지회 사무장은 “지난해 회사가 재무구조 개선을 한다며 유상증자를 했을 때도 직원들은 빚을 내서 참여했다. 한 해 140~150명씩 정년퇴직하는데 신규채용을 하지 않으면서 노동강도는 높아졌고 안전사고도 잦아졌다”며 “직원들은 그 모든 걸 감수하면서 자구노력을 했는데, 오너와 경영진은 무슨 자구노력을 했냐”고 비판했다. 그는 “진짜 실효적인 비상경영조치는 오너들이 사재를 출연하고 경영일선에서 물러난 뒤 전문경영인이 운영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회는 휴업 시행을 위한 노사협의는 거부하되, 노사 대표가 참여하는 특별단체교섭이나 올해 임금·단체교섭에서 다루자고 회사에 제안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