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산업은 인공지능(AI)과 4차 산업혁명의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다. 그런데 미국 노동부는 최근 금융보험업 일자리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중장기 전망을 내놓았다. 어떻게 된 일일까.

조혜경 정치경제연구소 대안 연구위원이 지난달 28일 오후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금융서비스 일자리 간담회’에서 소개한 사례다. 조혜경 연구위원은 간담회에서 ‘4차 산업혁명의 금융일자리 영향과 전망’을 주제로 발표했다. 금융업은 산업별·직무별 AI 노출도가 정보산업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조 연구위원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2018년 기준 전체 금융보험업 종사자의 45.7%가 AI에 노출된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노동부는 2018년을 기준으로 금융업권별 취업자 중장기 전망을 발표했다. 대출업은 2028년까지 1만8천400명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투자업은 3만8천600명, 보험업은 11만1천300명이 늘 것으로 예상했다.

조혜경 연구위원은 “1980년대 현금 자동입출금기(ATM)와 1990년대 회계 소프트웨어 보급에도 불구하고 1997년부터 2007년 사이 미국의 금융종사자 중 텔러는 11.6%, 회계업무 담당자는 6.4% 증가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대 인터넷뱅킹과 모바일뱅킹 확산에도 은행권 고용이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조사된 적 있다. 자동화가 곧 고용감소라는 등식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산업을 둘러싼 환경변화는 다시 그에 맞는 새로운 수요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조 연구위원은 “개별 고객의 구체적인 요구를 충족하는 금융 자문 및 재무설계 서비스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고령화로 인한 시니어 고객 비중 확대는 금융 자문 대면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유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AI 자동화 기술이 업무 효율성을 지원하고 노동생산성을 확장하며 고용·소득 배분의 불평등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활용되도록 정책적·제도적 개입이 필요하다”며 “노사정이 금융산업의 중장기 미래 비전에 대한 합의에서 출발해 사회경제적 갈등이 디지털 전환을 지연하거나 억제하는 역효과를 낳지 않도록 타협적 해법을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