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기업가를 육성하기 위해 정부지원을 받은 기업이 일반 창업기업보다 자생력이 두 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정규직 고용 비율도 높았다.

고용노동부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원장 김인선)이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정부의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으로 창업한 기업 3천453곳을 실태조사한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은 창의적인 사회적기업 아이디어를 가진 창업팀을 선정해 지원하고 사후관리까지 하는 사업이다.

육성사업을 거쳐 창업한 기업의 5년 생존율은 52.2%였다. 일반 창업기업 생존율(28.5%)보다 두 배 가량 높았다.

육성기업은 지난해 기업당 평균 5.0명을 고용했다. 창업 3년차에는 5.6명, 5년차에는 7.0명, 7년차에는 7.8명을 고용해 연차가 쌓일수록 고용인원이 늘어났다. 여성고용 비율은 58.0%, 20~30대 청년고용 비율은 63.2%, 정규직 비율은 88.5%였다. 일반 창업기업의 여성고용 비율은 44.1%, 청년고용 비율은 42.5%, 정규직 비율은 67.1%다.

육성기업 매출액은 3년차에 1억7천만원, 5년차 2억5천만원, 7년차 8억2천만원이었다. 육성사업에 참여한 기업이 사회적기업이나 예비사회적기업으로 진입하는 비율은 2013년 17.0%에서 올해 7월 기준 37.9%로 상승했다. 지난해 육성사업에 참여한 기업은 절반 가량인 46.6%가 사회적기업이나 예비사회적기업이 됐다.

육성기업의 57.3%는 경역전략 상담을, 38.9%는 저금리 대출지원을 원했다. 38.7%는 온·오프라인 유통망 연계지원을 필요로 했다. 송홍석 노동부 통합고용정책국장은 “육성사업 창업기업은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성과를 모두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지만 여전히 자금조달과 판로 확보, 인력채용에서 어려움을 겪는 곳이 많다”며 “부족한 점을 보완해 창원지원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