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
연내에 3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리고 북미 적대관계가 종식될까. 24일 뉴욕과 서울에서 잇따라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희소식이 날아들었다.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오전(현지시간 23일 오후) 유엔총회가 열리는 뉴욕에서 한미정상회담을 갖고 이 같은 의지를 확인했다. 같은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는 국가정보원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1월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참석할 수도 있다"고 보고했다.

문재인 대통령 “3차 북미정상회담 세계사적 대전환”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예정된 시간을 넘겨 65분간 정상회담을 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최근 북한의 대화재개 의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싱가포르 회담 합의정신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재확인했다”고 전했다.

고 대변인은 “두 정상은 북미실무협상에서 조기에 실질적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의견을 교환했다”며 “한미 양국이 북한과의 관계를 전환해 70년 가까이 지속된 적대관계를 종식하고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체제를 구축할 의지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김정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6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1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북미 간 새로운 관계 수립과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에 합의했다. 북미 양국은 3차 북미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실무협상을 조율 중이다.

문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에서 “3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리면 한반도에 비핵화의 새로운 질서가 만들어지는 세계사적 대전환과 업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랫동안 북한의 핵시험이 전혀 없었다”며 “우리는(북미는) 관계가 매우 좋다”고 답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두 정상은 조기에 실무협상이 개최돼 실질적인 진전이 이뤄져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며 “북한에 대해 무력을 행사하지 않고 비핵화시 밝은 미래를 약속한다는 기존 공약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두 정상은 한미동맹 강화에 뜻을 같이했다. 고 대변인은 “한미동맹이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안보에 핵심축으로 추호의 흔들림도 없다는 점을 재확인했다”며 “양국 간 경제협력을 포함해 호혜적이고 포괄적인 방향으로 한미동맹을 지속·강화시켜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국정원 “김정은 위원장 11월 부산 올 수도”

서울에서는 구체적인 전망이 나왔다. 국정원은 국회 정보위에서 “2~3주 안에 북미실무협상이 재개될 가능성이 크다”며 “실무협상에서 합의가 도출될 경우 연내에 3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11월25~26일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김정은 위원장이 참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참석할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비핵화 협상 진행이 어떻게 되는지에 따라 부산에 오지 않겠나”고 답했다.

정치권 반응은 엇갈렸다. 더불어민주당은 논평을 내고 “이제는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를 위한 대화와 협상이 본격적으로 추진돼야 할 시점”이라며 “한미정상회담을 계기로 교착상태에 있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위한 대화와 협상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정의당은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3차 북미정상회담을 위한 주춧돌이 또 하나 놓였다”며 “북미는 이미 두 차례 정상회담을 통해 서로 간의 입장을 충분히 확인한 만큼 남은 것은 세계 평화의 문을 열기 위한 정상들의 결단뿐”이라고 논평했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이번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우리가 얻은 것은 빈손이나 숙제는 한아름”이라며 “돌아온 것은 원론적인 한미동맹 강조일 뿐 주요 현안을 의제로 삼지도 못하고 미국의 이해나 협조를 얻어 내지도 못했다”고 주장했다. 바른미래당은 “3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해 한미 양국의 공감대와 의지를 확인한 것은 고무적이나 그것이 전부였다”며 “북한 비핵화에 대한 실질적 해법도 한미관계 복원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