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을 접은 자영업자나 미취업자가 일자리를 구하기 힘들어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5일 한국노동연구원 ‘한국의 노동시장 이행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임금노동자 직업안정성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보고서는 연구원이 1998년(1차 조사)부터 2017년(20차 조사)까지 진행한 한국노동패널조사를 분석한 것이다. 임금노동자가 그 다음해에도 임금노동자로 남아 있을 확률은 99년 82%를 기록한 뒤 증가추세를 보였다. 2011년 92%까지 오른 뒤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 임금노동자에서 자영업이나 무급가족 종사자 같은 비임금 노동자로 전환하는 확률은 감소했다. 98~99년 4% 수준에서 2016~2017년 1% 수준까지 떨어졌다.

비임금 노동자가 임금노동자로 바뀌는 비율은 전반적으로 감소했다. 2001년에는 비임금 노동자 중 6%가 1년 뒤 임금노동자가 됐지만 2017년에는 3.7%로 급감했다. 임금노동자가 비임금 노동자보다 직업안정성이 높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긍정적인 현상은 아니다.

2017년 기준 비임금 노동자가 1년 뒤 미취업자로 이행하는 확률은 4.8%로 임금노동자가 될 확률(3.7%)보다 높았다. 비임금 노동자가 3년 후 미취업자가 되는 확률은 10%로, 같은 기간 임금노동자로 전환하는 확률(8%)을 웃돌았다. 자영업자 같은 비임금 노동자가 사업이 끝난 뒤 일자리를 잃어버리는 확률이 시간이 갈수록 커진다는 뜻이다. 미취업자가 계속해서 일자리를 찾지 못할 확률도 커졌다. 미취업자가 3년 후 미취업 상태를 유지하는 확률은 2001년 71%에서 2017년 80%로 증가했다.

김유빈 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노동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양호한 지위를 누리는 임금근로자와 달리 자영업자와 미취업자는 최근 들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직업교육훈련을 통해 미취업자 취업가능성을 높이고 비임금 근로자가 임금근로자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