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7년이 되면 세종시를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15~64세 생산연령인구가 지금보다 30% 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7일 이러한 내용의 ‘2017~2047년 시도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발표했다. 시도별 장래인구추계는 통상 5년 단위로 이뤄져 2022년 발표 예정이었으나, 초저출산 현상이 심화하면서 2년 만에 특별추계 형식으로 공표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 생산연령인구는 2017년 3천757만명에서 2047년 2천562만명으로 31.8%(1천195만명)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같은 기간 전체 인구에서 생산연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73.2%에서 52.4%로 20.8%포인트 줄어들 것으로 추계됐다.

전국적으로 보면 생산연령인구는 부산·대구·울산·경북·경남이 속한 영남권이 41.5%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호남권(-35.5%)과 수도권(-27.8%)·중부권(-25.8%)이 뒤를 이었다. 시·도별로 보면 생산연령인구 감소 폭은 부산(-45.6%)과 대구(-43.4%)·울산(-41.4%) 순으로 컸다. 호남권에 속한 전북(-40.1%)·광주(-38.8%)·전남(-38.2%)도 생산연령인구가 크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2047년 서울의 생산연령인구는 2017년보다 37.9% 줄어든다. 경기(-19.9%)·인천(-28.7%) 지역의 감소 폭은 전국 평균(-31.8%)보다는 낮았다.

반면 세종은 86.1%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17개 시·도 가운데 생산연령인구가 유일하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 세종은 다른 시·도에 비해 출산율이 높고 젊은 연령층 유입이 많은 편이다.

전체 인구를 연령순서로 나열할 때 한가운데인 중위연령은 2017년 42.0세에서 2047년 56.8세로 30년간 14.8세나 증가할 것으로 추계됐다. 2047년 전남이 63.1세, 경북 62.1세, 강원 61.9세, 전북이 60.9세로 나타났다. 세종도 30년 뒤 중위연령은 50.1세를 기록해 전국 시·도에서 중위연령이 50세를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은 "중위연령이 빠르게 증가하는 배경은 생산연령인구와 유소년인구가 줄어들고 고령인구만 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