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소상공인 맞춤지원을 위해 2022년까지 25개 자치구마다 소상공인 종합지원플랫폼을 운영한다. 소상공인이 지원받을 수 있는 중소기업육성자금은 지난해 1조원에서 올해 1조5천억원으로 늘어난다.

서울시는 4일 “소상공인을 위한 지역밀착 지원체계를 만들었다”며 이런 내용의 ‘소상공인 지원 종합계획’을 내놓았다.

서울시는 “소상공인들을 경제활동 주체로 인식하고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지속적으로 생존·성장할 수 있는 자생력 강화전략에 중점을 뒀다”며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확대와 상권 중심 경쟁력 강화 전략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소상공인의 자생력과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밀착형 종합지원체계인 소상공인 종합지원플랫폼을 설치한다. 올해 서울신용보증재단 지점이 있는 17곳을 시작으로 2022년까지 25개 자치구마다 1곳씩 설치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소상공인 종합지원플랫폼 핵심 역할은 지역-관계-현장 중심 지원”이라며 “지역밀착형 경영지원과 생애주기별 종합서비스까지 종합지원패키지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경영비용 부담 완화와 사회안전망 강화도 눈길을 끈다. 소상공인 지원대상인 중소기업육성자금을 지난해 1조원에서 올해 1조5천억원으로 5천억원 증액했다. 2022년까지 매년 1천억원씩 확대할 예정이다. 금리는 2.0~2.5%로 동결한다.

서울시는 카드수수료 부담 완화를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시범시행 중인 제로페이 활성화에 나선다. 고용보험료·노란우산공제·유급병가 패키지 지원을 추진한다. 소상공인·비정규직을 위한 유급병가는 연간 최대 11일간 쓸 수 있다. 하루당 8만1천184원의 생활임금을 지원한다.

서울시는 또 주요 상권 150개 핵심거리와 1만5천개 점포에 대한 임대료·권리금 조사를 통해 연말까지 ‘통상임대료’를 발표한다. 임대료 분쟁해결을 위한 객관적 지표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4월에는 소상공인 생존전략과 역량강화를 위한 정책개발을 전담하는 ‘소상공인연구센터’를 설립한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