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인권위원회가 방송통신위원회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 공영방송사 이사를 임명할 때 특정 성이 60%를 넘지 않도록 관련 법령을 개정하라고 7일 권고했다.

인권위가 2017년 실시한 미디어에 의한 성차별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드라마 속 사장·국회의원·장관·의사·국회의원·팀장급 이상 전문가의 남녀 비율은 큰 차이를 보였다. 여성 등장인물 중 전문직 비율은 21.1%인 데 반해 남성 등장인물은 47%로 두 배 이상 높았다. 반면 일반직·비정규직·자영업·무직은 여성 등장인물의 50.6%를 차지했다. 남성은 35%에 그쳤다. 인권위는 “극 중 남성은 주로 의사결정을 하는 위치이고 여성은 남성의 지시를 따르는 보조 역할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7개 채널 저녁종합뉴스에서 여성앵커는 10명 중 8명(80%)이 30대 이하였고, 남성앵커는 10명 중 9명(87.7%)이 40대 이상이었다. 정치뉴스는 남성앵커가 소개하는 비율(55.8%)이 높고, 경제뉴스는 여성앵커가 소개하는 비율(63.3%)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인권위는 “나이 든 남성앵커와 젊은 여성앵커 구조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며 “(뉴스진행 방식도) 우리 사회 성별 고정관념과 맞닿아 있다”고 분석했다.

성 불균형은 방송정책·심의기구와 방송사 성비 구성과 무관하지 않다는 게 인권위 시각이다. 현재 방송통신위 위원 5명이 모두 남성이고, 방송통신심의위 위원 9명 중 여성은 3명이다. 방송통신위가 추천하고 대통령이 임명하는 KBS 이사 11명 중 여성은 2명이다. 방송통신심의위가 임명하는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 이사 9명은 모두 남성이었다가 지난해 8월 여성 2명이 선임됐다. EBS는 이사 9명이 모두 남성이었다가 지난해 9월 여성 4명이 선임됐다.

인권위는 “방송통신위원장은 방송정책 결정 과정에 남녀가 평등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을 개정하는 한편 방송평가에 양성평등 항목을 신설하고 미디어 다양성 조사항목을 확대해야 한다”며 “방송통신심의위원장은 개선방향을 제시할 성평등특별위를 설치하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