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또 인상했다. 올해 들어서만 세 번째 인상이다. 미국 기준금리는 1.75~2.00%에서 2.00~2.25%로 오른다. 정부는 미국 금리가 한국(1.50%)보다 0.75%포인트나 높아지게 되자 거시경제 정책을 점검하는 등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27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미국 기준금리 인상 결과와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정부는 "금리인상은 이미 예상됐던 만큼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외국인 자금이 급격히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으나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내다봤다.

미국 금리 인상이 신흥국에 악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서는 촉각을 곤두세웠다. 보통 미국 금리가 오르면 달러화 가치가 높아진다. 투자자들이 가치가 높은 달러로 눈을 돌려 이탈하면 경제가 탄탄하지 않은 신흥국이 먼저 타격을 받는다. 고형권 기재부 차관은 "터키·아르헨티나 경제 불안이 브라질·남아프리카공화국·인도네시아 같은 신흥국으로 확산하고 있어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라며 "미국 금리인상과 신흥국 불안이 국내외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외국인 자금 유출입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11월부터 기준금리 1.50%를 유지하고 있는 한국은행은 금리인상 여부를 고심 중이다. 이주열 총재는 이날 "거시경제·금융 불균형 축적 가능성을 고려할 때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줄여 나가는 것은 필요하다"며 "미국 금리인상 결과와 미중 무역분쟁 등을 봐 가면서 고민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미국 기준금리와의 격차를 크게 벌여서는 안 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