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기업 비중이 감소하고 늙은 기업이 시장을 점유한 상황이 제조업 하락의 주요 원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13일 내놓은 '제조업 신생기업의 성장동력 역할 감소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종사자 10인 이상 기업 중 업력 5년 이하 신생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4년 기준으로 28%를 기록했다. 1995년(51%)의 절반 수준이다. 제조업 사업체를 설립하고 성장시키기가 어려워지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늙은 기업이 주축이 되면서 제조업에 어떤 현상이 나타났을까. 우선 총생산성 증가율이 둔화했다. 1995~2000년 제조업 총생산성 증가율이 7.3%였는데 2010~2013년에는 3.1%로 떨어졌다.

신생기업은 오래된 기업보다 생산성이 높다. 3년차 이내 신생기업의 평균 생산성을 4~6년차, 12년차 이상 기업과 비교했더니 각각 101.3%, 101.5%였다. 2005~2013년 기준이다.

신생기업이 제조업 총생산성 증가에 기여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부가가치 비중은 최근 낮아지는 추세를 보인다. 1995∼2004년 3년차 이내 기업 부가가치 비중은 5.6%, 4∼6년차 기업은 9.2%를 기록했다. 반면 2005∼2013년에는 각각 4.5%, 6.8%로 축소했다. 생산성이 좋은데도 전체 제조업에서 이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51%에서 28%로 하락했기 때문이다.

시장에 진입한 신생기업이 성장하지 못하고 정체하는 문제도 눈에 띈다. 신생기업의 생산성 증가율을 1년차 순진입기업과 2∼6년차 존속기업으로 나눠 살펴봤더니 존속기업의 생산성 하락이 두드러졌다. 1995∼2000년 3.8%이던 신생기업의 생산성 증가율은 2010∼2013년 1.5%로 하락했다. 같은 기간 순진입기업 부가가치 비중(기여도)은 1.1%에서 0.7%로 0.4%포인트 떨어졌다. 존속기업 기여도는 2.7%에서 0.8%로 1.9%포인트 급감했다.

KDI는 보고서에서 "신생기업 진입이 감소해 역동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존재하지만, 시장에 진입한 신생기업의 성장이 정체되는 문제가 크다"며 "신생기업의 시장 진입과 성장을 지원하는 정부 창업지원정책이 실질적으로 효과를 내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