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전문가·예술강사들이 참여하는 학교 예술강사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가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다. 19년이 넘도록 공공부문 비정규직에 머물러 있는 예술강사들의 고용안정 방안이 도출될지 주목된다.

2일 예술강사연대회의에 따르면 예술강사 정규직 전환 심의위는 이날 오후 서울 용산구 한국저작권위원회 교육연수원에서 2차 회의를 열었다. 지난달 20일 상견례에 이어 이날 논의를 시작했다.

심의위는 문화체육관광부·교육부·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관계자와 관계기관 추천 전문가 등 11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날 회의는 당사자인 예술강사들이 현장 현실과 무기계약직 전환이 필요한 이유·입장을 밝히는 자리였다. 의견을 개진한 김진 공공운수노조 예술강사지부장은 "2000년 시작한 예술강사사업이 19년을 맞이했지만 강사들은 여전히 매년 계약하는 임시직에 머무르며 고용불안을 느끼고 있다는 사실을 설명했다"며 "진작 무기계약직이 됐어야 하는 상황인데도 미뤄진 현실을 지적했다"고 전했다.

심의위는 앞으로 매주 한 차례 회의를 열어 학부모·운영기관·현직교사를 포함한 당사자 의견을 듣는다. 의견청취와 현장 점검을 거쳐 임시계약직인 예술강사들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술강사연대회의와 전국연극예술강사협의회·국악강사협의회를 비롯한 예술강사 단체들은 2차 심의위 회의 시작에 앞서 회의장 인근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무기계약직 전환 결정을 요구했다.

예술강사사업은 2000년 국악강사풀제로 도입됐다. 3~12개월 단위로 매년 계약하는 임시직이다. 2000년 임시직 국악강사는 올해도 임시직 국악강사다. 올해 기준 전국 8천700여개 학교에서 5천300여명의 예술강사가 수업을 하고 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