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에서 무기계약직을 포함해 정규직 전환이 결정된 비정규직이 10만명을 넘었다. 고용노동부는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공공부문 비정규직 10만1천명의 정규직 전환을 결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정부가 2020년까지 전환 목표로 세운 20만5천명의 절반(49.3%) 수준이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공공부문 비정규직 특별실태조사 결과 및 연차별 전환계획'을 발표하고, 2020년까지 잠정 전환인원 17만5천명과 청소·경비 종사자 등 추가 전환 여지가 있는 인원 3만명을 합한 20만5천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고용형태별로 기간제는 올해 상반기까지 잠정전환인원(7만2천354명)의 81.5%인 5만8천933명, 파견·용역은 4만2천242명을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중앙행정기관은 기간제 1만1천106명(47곳)과 파견·용역 7천44명(30곳), 자치단체는 기간제 1만5천517명(206곳)과 파견·용역 660명(28곳)이 전환 대상이다.

교육기관은 기간제 1만694명(72곳)과 파견·용역 1천804명(34곳), 공공기관은 기간제 1만8천747명(249곳)과 파견·용역 3만2천125명(135곳)이 정규직으로 전환된다. 지방공기업은 기간제 2천869명(137곳)과 파견·용역 609명(42곳)의 전환 결정이 마무리됐다.

공공부문 2단계 정규직 전환은 다음달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6월부터 추진한다. 2단계 대상기관은 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533곳), 공공기관 자회사(41곳), 지방공기업 자회사(6곳) 등 600곳이다. 2단계 대상기관 전체 노동자는 5만명이고, 비정규직은 1만6천명이다. 이 중 기간제는 1만1천명, 파견·용역은 5천명이다. 노동부 관계자는 "2단계 대상기관은 비정규직 비율이 높고, 기관규모가 영세하며, 기관 운영 재원의 모회사 의존성이 강하다"며 "대상기관·관계부처·노동계·전문가 의견을 반영해 맞춤형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