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문재인 정부가 최근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추진계획(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국립대병원·지방의료원 등 공공병원에서 일하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시행될 예정인 가운데, 앞서 노동자들을 정규직화했던 서울의료원 사례가 주목받고 있다. 병원 노동자들은 "서울의료원에 정규직화가 진행된 뒤에도 해고 사례가 발생했다"며 "이 같은 부작용을 막기 위해 노조와 대화하며 정규직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비대위원장 김진경)는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병원 비정규직 정규직화 방안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노조에 따르면 서울의료원은 2012년 서울시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개선 대책에 따라 직접고용 비정규 노동자를 정규직화했다. 2016년에는 간접고용 노동자인 청소노동자를 정규직화했다. 의료연대본부는 그러나 서울의료원에서 정규직화 뒤에 여러 부작용이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김경희 서울지역지부 새서울의료원분회장은 “2016년 7월1일자로 정규직으로 일괄 전환된 청소노동자 중에도 2명이 해고를 당했다”며 “서울의료원은 2명의 해고자들에게 지난해 5월 합격을 통보하고도 발령일은 두 달 뒤인 7월15일로 냈는데, 지난 14일 계약만료를 통보했다”고 말했다. 김 분회장은 “서울의료원 노동자들은 직접고용되면서 별도 직군으로 편재돼 상여금과 위험수당도 지급받지 못했다”며 “별도 직군으로 편입하는 방식으로 정규직화를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본부는 노조와 정규직화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진경 비대위원장은 “정규직화 흐름이 또 다른 해고나 차별을 고착화하는 계기가 돼서는 안 된다”며 “정규직화하면서 지금의 정년이나 임금조건이 저하되지 않도록 정부는 정규직화를 노조와 함께 논의하며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밖에 노조는 공공병원뿐 아니라 민간·사립병원에도 정규직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공공병원이 전체 병원 중 10%밖에 안 되는 상황에서 공공병원만 정규직화가 이뤄진다면 눈 가리고 아웅하는 격”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