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식이 부모의 직업군까지 대물림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교육·소득 수준을 포함한 부모의 배경에 따라 자식의 소득이 달라지는 현상이 후세대로 갈수록 심해지고 있었다.

17일 한국노동연구원이 내놓은 ‘직업계층 이동성과 기회불균등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부모 직업군이 자식에게 대물림되는 경향이 뚜렷했다.

연구진은 연구원의 1998~2014년 한국노동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했다. 조사대상인 부모와 자녀의 직업군을 △1군(입법공무원·고위 임직원 및 관리자·전문가) △2군(기술공 및 준전문가·사무종사자·기능원 및 관련기능 종사자,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3군(서비스종사자·판매종사자·농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 단순노무 종사자)으로 나눴다.

2013년 기준으로 아버지의 직군별 월평균 임금은 1군 394만원, 2군 233만원, 3군 167만원이었다. 자식은 차례대로 266만원·221만원·198만원이었다.

아버지가 1군 직업인 경우 자녀 직업은 2군일 확률이 54.7%로 가장 높았다. 1군이 32.3%로 뒤를 이었다. 아버지 직업이 2군일 때에는 자녀가 2군이 될 확률이 56.9%로 가장 높았다. 상대적으로 임금이 높은 아버지의 직업이 자식에게 대물림되는 경향을 보였다.

어머니 직업의 대물림 현상은 더욱 두드러졌다. 어머니가 1군일 때에는 자녀가 1군이 될 확률은 45.5%로 가장 높았다. 어머니가 2군일 때에도 자식은 2군(59.4%)이 될 가능성이 가장 컸다. 부모 배경에 따라 자식의 경제적 성과가 달라지는 현상은 후세대로 갈수록 심했다.

아버지의 교육·소득 수준이 높으면 자녀 경제수준도 높아지는 기회불균등 지수는 1976~1996년생 자녀가 0.247로, 1960~1975년생(0.151)보다 높았다.

이경희 연구위원은 “소득과 직업계층 대물림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해 노동시장 진입 이전 단계에서 교육기회 균등을 보장하고, 노동시장 진입 단계에서 취업 및 임금지원 정책을 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