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공공부문 일자리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통계청이 중앙·지방정부와 공기업 일자리 현황을 담은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를 13일 내놓았다. 공공부문 일자리는 2015년 기준 233만6천개다. 중앙·지방정부 일자리는 199만개, 공기업 일자리는 34만6천개였다. 전체 취업자수 대비 공공부문 일자리는 8.9%, 중앙·지방정부 일자리는 7.6%를 차지했다. OECD 평균 공공부문 일자리 비중(21.7%)에 한참 못 미친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당시 공공부문 일자리 81만개 창출을 약속하며 "OECD 절반 수준으로 공공부문 일자리 비중을 올리겠다"고 공언했다.

통계에 따르면 공공부문 일자리 중 2014~2015년 동일한 노동자에 의해 점유된 지속일자리는 201만7천개로 86.3%였다. 성별 일자리 비율은 남성 일자리가 130만개(55.7%)로 여성 일자리 103만6천개(44.3%)보다 1.25배 많았다. 연령별로는 40대가 30.3%로 가장 많고, 30대(27.6%)·50대(23.3%)·20대(12.7%)·60대 이상(6.2%) 순이었다.

중앙·지방정부 일자리 현황을 상세히 살펴보면, 정부 공무원 일자리는 126만5천개인 데 반해 비공무원 일자리는 55만9천개에 그쳤다. 성별로 보면 공무원은 남성 61.4%, 여성 38.6%였다. 비공무원은 남성 34.1%, 여성 65.9%로 여성이 월등히 많았다.

중앙·지방정부의 공무원·비공무원 모두 40대가 가장 많았다. 공무원은 60세 이상이 2만7천명(2.2%)을 차지했다. 비공무원은 20세 이하가 5만9천명(10.6%)으로 가장 적었다. 비공무원 중 60세 이상은 9만4천명으로 16.8%를 차지했다. 근속기간은 공무원 중 62.2%가 10년 이상 근무했고, 비공무원의 70.3%는 3년 미만 일했다.

정부는 이번 통계를 바탕으로 공공부문 일자리 추세를 분석해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과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로 사용할 계획이다.

권용희 민주일반연맹 정책실장은 “지자체 간접고용 노동자들은 통계에서 제대로 잡히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통계청 일자리 현황에서 비공무원 비율과 용역업체에 소속된 간접고용 비율을 세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권 실장은 “이번 통계에서도 70%가 넘는 비공무원 근속기간이 3년 미만으로 나온다는 것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방증”이라며 “간접고용 노동자를 정부와 지자체가 직접고용하고 이들의 근로조건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