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남신 한국비정규노동센터 소장

유례없는 폭염이 지배하고 있는 한반도의 정세가 사납다. 하루가 멀다고 터져 나오는 권력자와 측근들의 비리와 오만불손한 행태들이 무더위보다 더 짜증스럽다. 노동자 서민의 삶은 나아질 기미 없이 팍팍하기만 한데, 산해진미로 집권여당 대표를 대접한 대통령의 심사가 꼴불견이다. 불평등과 양극화. 2016년 대한민국을 설명하는 가장 핵심적인 열쇠말이다. 아무리 선진국 그룹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해 본들 어그러진 사회 때문에 대다수 노동자 서민이 행복할 수 없다면 무슨 소용일까.

재벌 곳간을 꽉 채운 사내유보금은 언제 폭발해 공멸을 부를지 모르는 시한폭탄이다. 하지만 구중궁궐에 갇힌 수첩공주와 권력에 취한 기득권자들은 폭탄 제거는 안중에도 없고 폭탄 돌리기만 하고 있다. 자본독재 시대 슈퍼갑으로 군림해 온 재벌 자본가들은 노동자들을 노예로 여기고 서슴없이 불법과 탈법을 저지르고 있다. 진창에 빠진 정치와 경제 모두 이미 노동자 민중이 감당할 수 있는 임계점을 한참 넘어섰다. 건국 수준의 근본적인 변화가 절실하다.

급한 사람이 우물을 팔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을 쥐락펴락하는 정권과 재벌 자본에 맞선 투쟁만으로는 한계가 분명하다. 어떻게든 새로운 대안을 만들어야 한다. 결국 자본주의 사회에서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노동자들의 역할이 관건이다. 우리 사회를 지탱하고 있는 2천만 노동자들이 새로운 사회 변혁과 건설의 주체로 거듭날 때 비로소 돈만 좇는 천민자본주의 정글 대한민국을 사람 사는 공동체로 바꿀 수 있다. 다수 구성원의 의식과 생활이 바뀌지 않는데 어떻게 사회적 약자가 존중받는 사회로 바뀔 수 있을까. 시간이 걸리더라도 노동자들이 정신 차리고 나서야 지긋지긋한 한국 사회의 폐해를 극복하고 시정할 수 있다. 단언하건대 다른 방도는 없다.

사실 양대 노총이 제 몫을 하면 가장 바람직하다. 하지만 조직노동은 여러 한계와 문제점에 가로막혀 우리 사회를 근본적으로 혁신할 견인차 역할을 당장 하기가 버거운 현실이다. 종종 스스로 걸림돌이 되기조차 한다. 우리 사회를 이 지경으로 만든 책임이야 두말할 것 없이 보수정권과 재벌자본에게 있지만, 우리 사회의 경제사회민주화가 지체된 문제와 관련해선 조직노동의 책임도 무겁다. 헌법으로 보장된 노동조합의 역할이야 여전히 중요하지만 그것만으론 태부족이다. 가장 고통받고 있는 당사자들이 공감하고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방식의 운동이 필요한 이유다.

생소할지 모르겠지만 한국비정규직노동단체네트워크(약칭 한비네)가 있다. 2010년 9월16일 지역비정규네트워크로 시작해 2012년 11월29일 정식 출범해 6년 동안 활동해 온 30여 지역노동단체들의 모임이다. 한비네는 각기 특색 있는 지역의 비정규노동네트워크가 모인 전국비정규노동네트워크다.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인 셈이다. 비정규 문제를 매개로 지역에서 노동네트워크를 꾸리고 다양한 사업을 펼쳐 왔다. 전국 도처의 민간 노동단체와 지자체 지원단체들이 함께 모인 독특한 구조를 유지하면서 시너지를 내기 위해 애써 왔다. 한비네는 부족한 점이 많지만 지금까지 거둔 성과가 적지 않다. 무엇보다 노동조합이 대변하지 못하고 있는 미조직 비정규 노동자들과의 접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문제 개선을 시도하면서 일정한 결실도 거뒀다.

한비네는 강력하고 건강하게 도약해야 할 비정규노동운동의 밀알이 되고, 한국 사회 변혁의 기치 아래 위기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노동운동의 재기와 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활동해 왔다. 무엇보다 구두선으로 그치기 일쑤인 비정규 문제를 실사구시 정신으로 개선하고 해결하는 데 앞장서겠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달려왔다. 나무가 제대로 자라려면 뿌리가 건강해야 한다. 한비네는 노동운동을 되살릴 건실한 실뿌리가 되겠다는 다짐으로 스스로를 명품조연이자 비정규운동 실학파라고 자임해 왔다.

한비네 활동가 워크숍이 이달 25일부터 2박3일간 진행된다. 절망이 일상이 된 시대에 스스로 희망의 거처가 되길 꿈꾸면서 변방에서부터 서두르지 않고 차근차근 노동현실을 바꾸기 위해 온 힘을 쏟아 온 한비네가 올곧은 전망을 세우길 소망한다. 한비네는 현재보다 미래가 더욱 기대되는 운동네트워크다. 한비네의 활동으로 노동 3권이 박탈된 채 고용불안과 차별에 시달리고 있는 1천만 비정규 노동자들의 아픔과 고통이 경감되고, 더 많은 저임금 불안정 노동자들의 권익이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한비네처럼 변방의 튼실하고 건강한 운동이 노동운동의 위기를 극복할 돌파구 중 하나라고 믿는다.

한국비정규노동센터 소장 (namsin1964@daum.net)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