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에서 일하는 노동자 10명 중 4명은 고용불안에 시달리는 기간제거나 파견·도급·용역 같은 간접고용 노동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스스로 고용구조 개선을 유도한다는 취지로 고용형태 공시가 실시된 지 3년이 지났지만 대기업의 일자리 질은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6년 고용형태 공시 결과를 보면 300인 이상 3천454개 대기업에서 일하는 473만7천명 중 직접고용(정규직·계약직) 노동자는 380만5천명(80.3%)이고, 사업장 소속 외 근로자로 구분된 간접고용 노동자는 93만1천명(19.7%)이다. 직접고용 노동자 중 계약기간이 정해진 기간제 노동자 비중은 지난해보다 0.8%포인트 상승한 23.7%(90만명)를 기록했다. 전체 대기업 노동자 중 간접고용과 기간제 노동자를 합친 숫자는 183만1천명으로, 전체 노동자의 38.65%를 차지했다.

기업규모가 클수록 간접고용 노동자의 비중은 높았다. 노동자 500명~1천명 미만 기업의 간접고용 비율은 12.4%(10만6천명)였는데, 5천명 이상 기업에서는 26.6%(45만1천명)로 두 배 이상 높았다. 간접고용 노동자 비율 건설업(44.5%), 제조업(24.4%), 운수업(22.7%), 도·소매업(22.6%) 순으로 높았다.

노동계와 재계는 고용형태 공시 결과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밝혔다. 민주노총은 "최근 구의역 비정규직 노동자와 삼성전자서비스센터 수리기사의 사망으로 사회문제가 된 죽음의 외주화와 하청노동의 진원지가 대기업이라는 점이 다시 한 번 확인됐다"며 "재벌에 비정규직 고용 확대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반면 전경련은 "법과 시행령에 명확히 규정되지 않은 '소속 외 근로자'를 공시하면서 대기업이 비정규직을 양산한다는 오해를 유발하고 있다"며 고용형태공지제 폐지를 주장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