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한 남편을 둔 아내가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70%나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회생활 은퇴가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 상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뜻이다.

강모열 서울대의대 예방의학교실 연구원이 2006~2012년 네 차례에 걸쳐 진행된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에 참여한 45세 이상 남녀 5천937명을 상대로 ‘은퇴에 따른 우울감의 영향’을 분석해 28일 발표한 결과다.

연구팀은 참여자 본인과 배우자 직업상태를 근무·자발적 은퇴·비자발적 은퇴로 구분해 우울척도검사(CES-D)를 했다. 그 결과 실직에 따른 우울감이 본인뿐만 아니라 배우자에게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자발적으로 은퇴한 남편과 함께 사는 아내는 계속 직장에 다니는 남편을 둔 아내보다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70% 높았다. 원치 않은 은퇴를 한 남편을 둔 아내는 우울증 위험이 29% 높았다.

한편 참여자들의 나이·재산·가구소득·건강상태 같은 변수가 반영되지 않도록 조정해 보니 우울증 위험도가 눈에 띄게 낮아졌다. 스스로 직장을 그만둔 남편이 있는 아내의 우울증 위험도는 70%에서 35%로 감소했다. 의도치 않게 은퇴를 한 남편을 둔 아내는 직장을 다니는 남편의 아내와 우울 정도에 차이가 없었다.

강모열 연구원은 “경제상황을 비롯한 변수를 보정했을 때 우울증 위험도가 낮아진다는 것은 그만큼 은퇴로 인한 경제적 스트레스가 크다는 뜻”이라며 “은퇴 이후 가계수입 급감이 가족 전체의 정신적·육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