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삼성서울병원에 원격진료를 허용한 것을 두고 보건의료 노동계가 반발하고 나섰다. 정부는 삼성서울병원에 다니던 외래환자를 위한 한시적인 조치라고 설명했지만 원격진료 빗장이 풀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보건의료노조는 지난 19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서울병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는 삼성서울병원을 앞세워 의료영리화의 첨병인 원격진료를 도입하려는 시도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보건복지부는 16일 메르스 대응 관련 처방 추가지침을 통해 삼성서울병원 의사가 전화로 진찰한 뒤 외래환자가 지정하는 약국으로 처방전을 발송해 의약품을 처방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의료법이 규정하는 대면진찰 적용예외를 인정한 것이다. 의료영리화 논란을 낳았던 원격진료와 다르지 않다.

노동계는 당초 원격진료 시범사업을 확대하려던 정부와 메르스 환자 발생으로 인해 줄어든 이윤을 회복하려는 삼성서울병원의 이해가 일치돼 나온 결과로 분석하고 있다. 노조는 "원격진료 허용은 국민 건강과 생명을 담보로 삼성재벌에 특혜를 안겨 주는 국민을 우롱하는 행위"라며 "정부가 메르스 사태에서 드러난 보건의료체계 문제점을 개선하지는 않고 삼성과 야합해 보건의료체계를 심하게 왜곡시키는 작태를 저지르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도 같은날 발표한 성명에서 원격진료 허용을 비판했다. 의료연대본부는 "삼성서울병원은 메르스 사태로 손실이 나자 원격의료를 도입해 이윤을 낼 수 있도록 정부에 요청했다"며 "정부는 이번에도 삼성의 손을 들어줬다"고 비판했다.

의료연대본부 관계자는 "복지부가 지난해 9월 시작한 원격진료 시범사업과 관련해 삼성서울병원을 통해 원격진료 실적 쌓기를 하려는 것 같다"고 우려했다.

두 노조는 메르스 확산 사태로 드러난 의료쇼핑·대형병원 위주 보건의료체계를 개선하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병원의 몸집 불리기 경쟁과 이로 인한 환자 쏠림현상·의료양극화 문제를 개선해야 메르스 같은 감염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