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시내버스 노동자들이 12년 만에 운전대를 놓았다. 이들은 임금인상 약속 이행과 비정규직의 무기계약직 전환을 요구하며 23일 오전 4시를 기해 첫차를 멈춰 세우고 파업에 돌입했다.

자동차노조연맹 광주버스노조는 이날 오전 광주 북구 한국노총 전남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주 버스노동자 10명 중 4명이 고용불안에 처해 있다"며 임금인상 약속 이행과 비정규직 고용안정을 촉구했다. 노조는 "박광태 전 광주시장과 강운태 현 시장이 퇴직금 중간정산과 호봉제 도입을 수용하는 대신 대전시 수준으로 임금을 올리겠다고 약속했는데 지켜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쟁점은 임금인상과 비정규직의 무기계약직화다. 애초 9.8% 임금인상을 요구한 노조는 5.29%(15만6천원)로 수정안을 제시했지만 사측과 광주시는 3.62%(10만6천850원) 인상안을 고수하고 있다.

12년 만에 파업에 이른 배경은 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하고 있는 6개 도시 중 광주시의 임금이 가장 낮은 것과 관련이 있다. 6개 도시 중 5번째로 임금이 적은 대전시와도 15만원이나 차이가 난다.

광주시는 광주 버스기사들의 임금이 가장 낮다는 사실은 인정하지만 재정적자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시내버스 준공영제로 2011년 301억원·2012년 359억원·지난해 406억원(잠정)의 재정을 투입했다"고 밝혔다.

노조는 "버스 재정적자의 80%가 무료 환승비용"이라며 "광주시가 지원한 400억원 가운데 BIS(버스정보시스템) 구축과 정류장 시설 개선 등 준공영제와 상관없는 지출도 상당 부분 포함돼 있다" 반박했다.

노조는 이어 "광주 버스노동자 10명 중 4명이 계약기간이 1~2년에 불과한 비정규직"이라며 "이들의 고용안정을 위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광주시장이 교체를 앞두고 있다는 점도 협상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윤장현 광주시장 당선인 인수위원회는 언론에 "파업 중재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지만 노조를 찾아가서는 "권한이 없다"며 한발 물러선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