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5일 서울광장에서 열린 국민파업대회. 정기훈 기자
지난 25일 총파업을 진행한 민주노총이 5~6월 재차 총파업을 준비하고 있다. 25일 총파업이 당초 기대한 만큼 높은 수위로 진행되지 못함에 따라 5~6월 투쟁 수위를 놓고 민주노총 지도부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26일 민주노총에 따르면 다음달 20일께 예정된 중앙위원회에서 지난 21일 대의원대회에서 결정한 5~6월 총파업 및 총력투쟁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논의된다. 민주노총은 대의원대회에서 당초 6~7월 하기로 했던 총파업을 5~6월로 앞당겼다.

집행부가 애초 6~7월 총파업을 추진했던 이유는 현실적인 투쟁동력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임금·단체협상을 통해 합법적인 쟁의권을 확보한 뒤에 파업을 하자는 의도였다. 하지만 6월 국회에서 각종 민영화 법안 처리가 예상되는 데다, 6·4 지방선거 이전에 강력한 대정부 투쟁이 필요해 파업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는 목소리를 수용했다.

그런데 25일 총파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암초를 만났다. 금속노조 현대·기아차지부가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과반에 훨씬 못 미쳤고, 금속노조 전체 찬반투표에서도 찬성률이 절반을 밑돈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파업도 철도노조와 금속노조 삼성전자서비스지회·건설노조 등 일부 사업장만 벌였다. 집행부가 기대했던 것과 반대로 상황이 녹록지 않음이 확인된 것이다.

이에 따라 민주노총 지도부는 5~6월 투쟁 수위에 대해 현실적인 고민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통상임금과 관련한 주요 사업장의 임단협 상황, 보건의료노조의 6월 의료 민영화 반대 파업, 공공기관 노조들의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 반대 투쟁, 4월 국회에서의 통상임금·근로시간단축 쟁점화 등이 변수가 될 전망이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2·25 총파업에서 조직의 현실이 확인된 만큼 총궐기의 날로 정한 5·1 노동절까지 현실을 차분히 보면서 투쟁을 준비해야 하지 않겠냐”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