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산부인과 사회복지사로 15년간 근무하다 육아 문제로 퇴사했다. 1년 정도 아이를 돌보다 회사의 권유로 시간제로 재취업했다. 그전에는 팀장이었는데 재취업 과정을 거치며 경력은 모두 소멸되고 보조업무를 맡게 됐다. 점점 나의 업무능력이 다른 사람보다 뒤처지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재취업 전보다 임금도 크게 줄었다. 반찬값 정도밖에 못 번다면 양질의 일자리로 보긴 어렵지 않을까.”

산부인과 사회복지사로 일하는 신원경씨는 시간제 근로자다. 신씨 대신 아이를 돌봐 주던 친정어머니가 아이를 봐줄 수 없게 되면서 신씨는 퇴사를 결심했다. 1년 정도 집에서 아이를 돌보던 중 회사로부터 시간제로 일해 보지 않겠느냐는 제안을 받았다. 신씨는 “진작에 시간제 일자리가 있었다면 회사를 관두는 일도, 경력이 사라지는 일도 없었을 것”이라며 “이제라도 일과 육아라는 두 가지 숙제를 풀 수 있게 돼 다행이지만, 주변업무로 밀려나 낮은 임금을 받는 지금의 상황은 개선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고용노동부가 10일 오후 서울 중구 스페이스노아 커넥트홀에서 ‘일하는 여성들의 행복 달리기’를 주제로 SNS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방하남 노동부장관과 ㈜에어코리아·메디피아산부인과·청명환경시스템·한국고용정보·CGV·한국바스프·메리케이코리아 등 7개 사업장 소속 시간제·전일제 노동자와 각 업체 인사담당자들이 참가했다. 토론회 내용은 노동부 페이스북에 생중계되고, 트위터·페이스북을 통한 실시간 질의응답도 이뤄졌다.

토론회에 참가한 한 여성 토론자는 현행 육아기단축근무제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했다. 해당 토론자는 “육아휴직을 모두 쓰면 부하직원들이 너무 힘들어할 것 같아서 퇴사를 고민하다가 육아기단축근무를 신청했다”며 “집과 회사가 가까워 제도를 잘 활용했는데, 출퇴근 시간이 두세 시간씩 되는 직원들에게는 있으나 마나 한 제도”라고 지적했다. 여성 고용률을 유지하는 방안으로 재택근무 등 다양한 방안이 함께 검토돼야 한다는 뜻이다.

시간제 직원을 직접 채용하는 기업의 인사담당자들도 발언대에 섰다. 콜센터 전문업체인 한국고용정보의 민민홍 본부장은 “전일제로만 인력을 운용할 때 이직률이 10% 수준이었는데 시간제 직원을 채용한 뒤 이직률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고, 업무능률은 15% 정도 높아졌다”고 말했다. 시간제 채용에 대한 지원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민 본부장은 “시간제 직원들의 전일제 전환 요구를 수용하고 있는데, 그렇게 되면 정부의 시간제 고용지원금이 끊겨 비용부담이 만만치 않다”며 “양질의 일자리를 유지하기 위해 애쓰는 기업과 근로자를 위한 정부의 인센티브가 확대되기를 바란다”고 주문했다.

이와 관련해 방하남 장관은 “시간제 일자리를 비정규직과 같은 개념으로 보는 편견 때문에 부정적인 시각이 많은데, 90년대 네덜란드가 고용률 70%를 달성한 원동력이 바로 시간제 일자리였다”며 “시간제 근로자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병행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누리꾼 10명 중 8명 “시간제 일자리 취업의사 있다”

낮은소득·고용불안은 걸림돌, 전일제와 동등대우 보장 요구



정부가 고용률 70% 달성과 여성고용률 제고를 위해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대정책을 추진 중인 가운데 누리꾼 10명 중 8명이 “시간제 일자리에 취업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고용노동부가 지난달 27~28일 페이스북 이용자 2천542명을 대상으로 ‘시간제 일자리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를 벌여 10일 발표한 결과다.

시간제 일자리를 원하는 이유로는 "육아·가사와 병행할 수 있어서"(27%)·"여가시간을 가지고 싶어서"(20%)라는 응답이 많았다. 이어 "학업"·"전일제 일자리를 구하기 힘들어서"·"점진적 퇴직이나 인생 2모작을 위해서"라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반면 시간제 일자리가 꺼려지는 이유로는 "낮은 소득과 복리후생 등 열악한 근로조건 우려"(40%)·"고용불안"(20%)이라는 답변이 많았다. 전일제 근로자와의 차별이나 자아실현의 어려움, 좋지 않은 일자리라는 주변의 시선 때문이라는 답변도 적지 않았다.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를 확산·정착시키기 위해 개선해야 할 점을 묻는 질문에는 "임금·승진·복리후생 등 근로여건 보장"(38%)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시간제 일자리를 비정규직으로 간주하는 사회인식 개선"(21%)·"풀타임-파트타임의 자유로운 이동과 선택"(17%)·"시간제 근로자 보호법령 제정과 감독 강화"(16%)·"재택근무 등 스마트워크 확산"(6%) 등의 주문이 잇따랐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