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태 기자

초일류 기업을 자처하는 대우조선해양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높다. 노동·사회단체는 연일 서울 중구 대우조선해양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과 촛불문화제를 하고 있다. 대표이사도 고발했다.

지난해와 올해 잇따라 터진 산재사망 사고 때문이다. 거제도 대우조선해양에서는 지난해 11월과 올해 1·2월 산재사고로 노동자들이 연이어 목숨을 잃었다. 대우조선해양은 2010년 노동·사회단체가 매년 선정하는 ‘최악의 산재기업’에 뽑히더니, 올해에도 유력한 후보군에 들었다는 소식이다.

최근 발생한 사고 3건 중 2건의 피해자가 사내하청 노동자라는 점에서 대우조선해양은 더욱 비판을 받고 있다. 한국조선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대우조선해양 현장에서 일하는 생산직 중 68.2%가 사내하청 노동자다. 해양부문은 무려 89.4%나 된다. 비정규직을 많이 사용하면서도 그들에 대한 원청의 안전관리가 허술하다는 얘기다.

피해자들의 나이가 너무 젊다는 것도 가슴을 아프게 한다. 올해 1월15일 325톤의 선발블록에 깔려 숨진 노동자 민아무개씨는 23살이었다. 2월7일 선박의 해치커버를 닫다가 26미터 아래로 떨어져 사망한 전아무개씨는 고작 18살이었다. 막 고등학교를 졸업한 상태였다.

사내하청 노동자였던 두 고인의 근무경력을 보면 또 다른 사고원인을 짐작할 수 있다. 민씨는 입사 1개월 만에, 전씨는 입사 2주일 만에 변을 당했다. 최소한의 직무교육과 안전교육 없이 공기를 맞추기 위해 경력 없고 나이 어린 노동자를 무리하게 일을 시켰다는 지적이 나온다. 노동부 관계자는 “조선소 현장에 투입되기 위해서는 3~6개월의 사전교육이 필요하다”며 “신입직원들을 무리하게 투입한 정황이 짙다”고 말했다.

“최근 1년간 협력사를 포함해 9천여개의 일자리를 새로 만들었다”고 자랑한 대우조선해양 현장에 숨겨진 불편한 진실이다. 사회생활을 갓 시작한 열여덟 아들을 먼저 보낸 전씨의 어머니는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노동부 통영지청은 지난 25일부터 사흘간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했다. 마침 새로 부임한 노동부차관은 산업안전보건법을 위반한 사용주들을 비교적 엄정조치한 것으로 회자됐던 인물이다. 노동부의 특별근로감독 결과와 후속조치가 실망스럽지 않았으면 한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