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SㆍMBCㆍYTN 등 파업 중인 언론노조 조합원들이 새누리당 전당대회가 열린 고양시 킨텍스 제2회의장 앞에서 '공정보도'와 '언론자유' 등이 적힌 손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정기훈 기자

언론계도 이명박 정권 집권 후 격랑을 겪었다. 올해 3월5일 KBS·MBC·YTN 등 방송 3사는 초유의 공동파업을 선언했다. 이들의 요구는 낙하산 사장 퇴진과 공정보도 보장이었다.

언론노조 KBS지부가 3월6일부터 6월7일까지 95일, YTN지부가 3월8일 1차 파업 돌입 후 10단계에 걸쳐 55일 동안 투쟁을 벌였다. 언론노조 MBC본부는 1월30일부터 7월17일까지 170일간 파업을 이어갔다. 방송 역사상 최장기 파업으로 방송 파업의 역사를 새로 썼다.

MBC는 올 한 해 언론계의 뉴스메이커였다. 김재철 MBC 사장은 노조 집행부를 상대로 195억원의 손해배상소송을 냈다. 이는 언론사 노조 파업 사상 최고의 손해배상청구금액이다. 9명의 해고자를 포함해 파업에 참여한 조합원 230여명에게는 징계가 내려졌다. MBC는 파업에 들어간 조합원들을 대신해 '시용기자'와 '계약직 앵커'를 채용했다. 전례가 없는 고용형태다. 최근에는 MBC 경영진이 MBC 2대 주주인 정수장학회 측과 만나 민영화 추진에 대해 논의한 것이 밝혀져 논란이 됐다.

한편 방송 3사 외에도 연합뉴스지부가 103일, 국민일보지부도 173일 동안 파업을 벌였다. 각 지부마다 내부 사정은 달랐지만 '공정보도'와 '언론자유' 보장에 대한 요구는 같았다. 언론노조에 따르면 이명박 정부 5년 동안 452명의 언론노동자들이 공정보도를 요구하다 해고·정직·감봉 등의 징계를 당했다.

공영방송 지배구조의 합리적 개선을 공약한 박근혜 대통령 당선자가 해직 언론인들의 복직 문제를 어떻게 풀어낼지 관심이 모아진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