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근무제를 도입하는 공공기관이 늘어나고 있지만 활용실적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기획재정부가 공개한 공공기관 유연근무제 추진실적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체 288개 공공기관 가운데 69.1%인 199곳이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분기 183곳에 비해 16곳이 늘어난 수치다.

그러나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인원은 2만4천명으로 전체의 8.2%에 불과했다. 이마저도 단시간 근로를 하는 비정규직 신규채용을 포함하고, 한 사람이 두 가지 이상 유연근무제를 활용해도 중복으로 계상해 실제 인원은 더 적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용하는 유형별로는 탄력근무제가 1만6천400명(5.6%)으로 가장 많았다. 탄력근무제는 주 40시간 근무하되 출퇴근 시각·근무시간·근무일을 자율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그 밖에 주 40시간보다 짧은 시간을 근무하는 시간제근무와 원격근무제는 실적이 저조했다.

기재부가 최근 공공기관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유연근무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들은 "대체근로자 활용에 대한 어려움 해결"(37%)을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이어 조직문화 미비(16%)와 장시간 근로 선호 조직문화(10%) 등을 지적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대체근로를 위한 교육훈련 강화와 우수사례 홍보를 통해 사회 인식과 조직문화 개선을 꾀하고 일률적인 제도 적용에서 벗어나 공공기관의 개별 특성을 반영한 유연근무제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