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훈 기자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노동자 정치세력화가 새로운 시험대에 올랐다.

민주노총의 배타적 지지 대상이었던 민주노동당은 노무현 정신 계승을 표방한 국민참여당과, 진보정당 통합에 실패한 뒤 진보신당을 탈당한 새진보통합연대와 함께 합당하면서 지난 5일 통합진보당을 출범시켰다.

통합진보당이 출범하기까지 과정은 녹록지 않았다. 1년여에 걸쳐 추진된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과의 통합은 9월4일 진보신당의 부결로, 이어 민주노동당이 같은달 25일 국민참여당과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역시 부결되면서 진보정당 통합 추진은 무산되는 듯했다.

그런 가운데 노회찬·심상정·조승수 전 진보신당 대표가 주축이 돼 구성된 통합연대가 민주노동당·국민참여당·통합연대 3자 원샷 통합을 제안했고 결국 현재의 통합진보당에 이르게 됐다.

민주노총은 선택의 기로에 놓였다. 민주노총의 통합진보당에 대해 배타적 지지방침 유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조직 내·외부에서 반발이 만만치 않다.

한국노총도 사상 초유의 정치실험을 하고 있다. 제1 야당인 민주당이 내년 총선승리와 정권교체를 목표로 친노세력인 혁신과통합(시민통합당)·한국노총과 통합했기 때문이다. 이달 16일 민주당·시민통합당·한국노총은 통합수임기구 합동회의에서 합당을 결의하고 민주통합당으로 출범했다. 한국노총은 지명직 최고위원과 대의기구 할당(15% 상한)을 받는 등 정당 지도부에 뛰어드는 정치실험을 시작했다.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양대 노총이 선택하는 정치방침이 노동자 정치세력화에 얼마나 기여할지 관심이 모아진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