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은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가 매우 큰 곳 중 하나다. 19일 한국비정규교수노조에 따르면 비정규교수의 임금은 전임교원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반면 전업강사 등 비전임교원의 강의담당 비율은 전체의 50%에 육박한다.

경북대의 경우 비전임교원 강의담당 비율은 46.6%, 영남대는 46.1%에 이른다. 대구대는 44.7%, 계명대는 31.2%다. 적게는 30%, 많게는 50% 가까이 비정규교수들이 강의를 담당하고 있지만 교원의 보수와 시간강의료 비율은 전체 예산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노조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영남대의 올해 예산은 2천910억원인데, 이 중 교원 보수는 전체 예산의 33.9%인 987억원이다. 그러나 전체 시간강의료는 74억원으로 전체 예산의 2.2%밖에 되지 않는다. 비슷한 비율로 비전임교원이 강의를 담당하고 있는 대구대의 경우 전체 예산은 2천196억원이다. 그중 교원 보수는 24.5%(539억원)인 데 반해 시간강의료는 3.37%(74억원)에 불과하다.

이처럼 전임교원과 비전임교원의 임금격차가 벌어진 데는 1차적으로 대학에 책임이 있지만 정부가 고등교육예산을 확보해 국립대와 사립대 비정규교수 인건비를 직접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장백기 대학노조 위원장은 “시간강사 문제는 정부가 대학의 교육예산을 지원하지 않아 비롯된 일”이라며 “더 이상 국가가 책임져야 할 교육비를 국민에게 전가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대학들이 전임교원을 100% 충원하도록 만드는 것도 해법 중 하나로 거론된다. 전임교원 확보율은 경북대 78.1%, 영남대 68.2%, 대구대 53.9%로 100%에 한참 못 미친다. 조희연 성공회대 교수는 “2001년 서울대 시간강사가 자살했을 때 학술단체협의회 등이 농성과 1인 시위에 나서자 정부가 시간강사 대책으로 1천억원의 추가예산을 지원했다”며 “일정하게 대책이 나오고 있지만 시간강사를 차별했던 대학의 서열구조는 오히려 강화됐다”고 우려했다. 조 교수는 “차기 정부에서는 근본적인 시간강사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