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 사이 민주노총을 떠난 조직이 적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민주노총 출범은 물론 민주노조운동과 궤를 같이해 온 노조들마저 민주노총의 곁을 떠나고 있다. 특히 민주노총의 근간을 떠받쳐 온 정규직노조의 잇단 이탈은 민주노총의 조직운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각각의 노조들이 민주노총을 이탈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구조조정이나 정리해고의 여파로 노조가 약화되고, 노조 운영에 대한 회사측의 입김이 커진 경우 민주노총 탈퇴로 이어진 사례가 적지 않다. 쌍용자동차·대림자동차 사례가 대표적이다. 노사갈등이 장기화한 사업장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진다.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상신브레이크·KEC 같은 경우다.

노동운동 노선차이를 이유로 민주노총을 탈퇴하는 경우도 있다. KT노조와 서울지하철노조가 눈에 띈다. 이들 조직은 “투쟁일변도의 민주노총은 희망이 없다”는 이유를 내세우며 민주노총을 떠났다. 이들을 포함해 민주노총을 탈퇴한 조직 중 일부가 현재 ‘제3 노총’으로의 이합집산하고 있다.

정규직노조들이 민주노총을 떠나가는 사이 민주노총은 영세사업장·비정규직 조직화를 통해 조직률을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을 내놓았다. 비정규직 조직 활동가를 채용해 각 산별연맹에 파견했던 ‘1기 전략조직화 사업’이 끝났고, 현재는 지방의 공단지역 영세·비정규 노동자 조직화를 목표로 한 ‘2기 전략조직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1기 사업은 “연맹 상근자 늘려 주기에 불과했다”는 평가를 받았고, 2기 사업은 ‘노조 설립 즉시 해고’라는 공단 사용자들의 저항에 부딪혀 아직까지 가시적인 성과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노동계 관계자는 “민주노총은 알짜노조라 할 만한 정규직노조들이 사용자와의 힘의 우위에 밀려날 때도 힘을 쓰지 못했고, 비정규직 조직화에도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며 “다각적인 전략화 방침이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